A Clinical Study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with 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을 동반한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의 임상적 고찰

  • Moon Sang-Ae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k Jin-Won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Hong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ae-Seung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Hyun-Joo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Pyung-Kil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문상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육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재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현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Purpose: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APSGN) is a renal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glomerular proliferation and inflammatory changes due to immune reaction. Although the 95% of patients with APSGN seems to recover fully and present as benign course, the remaining patients show poor prognosis. Therefore comparative retrograde study between APSGN with and without nephrotic syndrome was done to find out the any prognostic indicator to predict the outcome in patients with APSGN. Methods: We had retrospectively analyzed seventy-o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PSGN clinically from Mar.1989 to Feb.1999 in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Sixty-four of the patients was APSGN without nephrotic syndrome(Group A) and seven patients were in APSGN with nephrotic syndrome(Group B). Result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PSGN with nephrotic syndrome were seven(9.9%) out of seventy-one. In the comparative study, sex ratio was 1:1 in group A and 1.9: 1 in group B, onset mean age was $8.9{\pm}2.6$ in group A and $8.8{\pm}2.6$ in group B. Following clinical profiles were compar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WBC count($9413{\pm}2964\;vs\;9368{\pm}2650(/mm^3)$), hemoglobin($10.6{\pm}1.2\;vs\;10.0{\pm}0.9(gm/dL)$), ASO($746.1{\pm}640.7\;vs\;614.9{\pm}475.9(IU/ml)$), $C_3(20.1{\pm}17.0\;vs\;16.9{\pm}13.1(mg/dL)$), $C_4(22.8{\pm}9.5\;vs\;22.6{\pm}6.9(mg/dL)$), BUN($25.8{\pm}26.1\;vs\;28.1{\pm}14.5(mg/dL)$), creatinin($0.8{\pm}0.3\;vs\;0.8{\pm}0.3(mg/dL)$), $C_{cr}(80.6{\pm}28.8{\pm}62.4{\pm}31.4(ml/min/1.73\;m^2$)), the duration of edma, gross hematuria, and hypertension. However, we foun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proteinuria($1.95{\pm}2.27\;vs\;13.3{\pm}21.1(months)$)(P<0.05), decreased $C_3$ duration($1.9{\pm}2.9\;vs\;7.3{\pm}5.0(weeks)$)(P<0.05) and especially it was prolo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rly urine protein excretion. Conclusion: Our study showed markedly prolonged duration of proteinuria and decreased $C_3$ duration in patients with APSGN with nephrotic syndrome. We were not able to find the definite prognostic factor that will guide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APSGN accompaning nephrotic syndrome, but above findings seemed to represent as a relative indication of the outcome of the disease. All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and we did not experience any cases that progressed into the renal failure.

목적 :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은 항원-항체계가 작용하여 증식병변과 염증반응을 가져오는 신질환을 가리킨다. 임상적으로 부종, 고혈압의 전신증상과 함께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 혈뇨를 보이며 대개 경한 단백뇨가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수의 환자에서 신증후군이 동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질환의 경과 및 예후 또한 전형적인 사구체신염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증후군을 동반한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의 임상적인 양상 및 조직학적인 특성을 관찰하여 초기 단백뇨의 정도가 본질환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치료 및 경과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7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신증후군을 동반하지 않은 환아군(A군)과 동반한 환아군(B군)으로 구분하여 두 군간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기간 중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총 71명으로 신증후군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A군)는 64례(90.1%), 신증후군이 동반된 환자(B군)가 7례(9.9%)였고, 남녀비는 A군이 1:1, B군이 1.9:1, 발병평균연령은 A군이 $8.9{\pm}2.6$세, B군이 $8.8{\pm}2.6$세였다. 진단 당시 주소로 육안적 혈뇨는 A군에서 33/64명 (51.6%), B군에서 7/7명(100%)있었고, 전신부종은 A군에서 23/64명(35.9%), B군에서 2/7명 (28.6%), 안면부종은 A군에서 17/64명(26.6%), B군에서 1/7명(14.3%), 호흡곤란은 A군에서 1/64명(1.6%), B군에서 0/7명(0%)였다. 검사실소견상 백혈구수, 헤모글로빈, CRP, ASO, BUN, 크레아티닌, 사구체여과율, $C_3,\;C_4$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선행감염으로는 A군의 경우 급성인두편도염 39/64명(60.9%), 피부감염 0/64명(0%), 경부임파선염 1/64명 (1.6%), 알지못하는 경우가 24/64명(37.5%), B군의 경우 급성 인두편도염 4/7명(57.1%), 알지 못하는 경우가 3/7명(42.9%)이었다. 단백뇨의 지속기간은 A군이 $1.95{\pm}2.27$주, B군이 $13.3{\pm}21.1$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3)를 나타내었고, 현미경적혈뇨의 지속기간은 A군이 $4.5{\pm}5.8$주, B군이 $6.6{\pm}5.0$주(P=0.42), $C_3$감소의 지속기간은 A군 (33/38명)이 $1.9{\pm}2.9$주, B군(5/38명)이 $7.3{\pm}5.0$주(P=0.04)로 신증후군을 동반하는 경우 단백뇨, $C_3$의 감소 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전례에서 단백뇨가 모두 소실되었으며 신부전으로 진행되거나 사망한 례는 없었다. 신조직 검사는 15례(21.1%)에서 시행하였고 적응증으로는 신증후군, 신기능의 저하, 고혈압이 동반되었던 경우로 하였다. 결론 :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사구체신염 환아에서 신증후군을 동반하는 경우 질환의 경과(단백뇨, $C_3$감소)가 유의하게 길어지며, 이외의 임상양상에 있어서는 신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전례에서 단백뇨가 모두 소실되었으며 신부전으로 진행된 례는 없는 것으로 보아 신증후군의 동반이 이 질환의 최종적인 예후에는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