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해부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Rami of the Upp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Related to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본태성 수부 다한증에 관련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

  • Cho, Hyun-Min;Kim, Kil-Dong;Lee, Sak;Chung, Kyung-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3
    • /
    • pp.182-188
    • /
    • 2003
  • Background: Although ramicotomy (division of the rami communicantes of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is a selective and physiological surgical method for essential hyperhidrosis,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higher recurrence rates and the different surgical results among the patients and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in the same individual. As one of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surgical result and recurrences, we investigated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rami communican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new surgical methods to decrease surgical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or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ame individual and recurrence rat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ramicotomy. Material and Method: We dissected 118 thoracic sympathetic chains in 59 adult Korean cadavers (male: 33, female: 26) to examine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rami communicantes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that have major components innervating to the hands. After the dissection of bilateral thoracic sympathetic chains, we compared the anatomy of left and right sides and examined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rami communicantes. Result: The number and variation of communicating rami connecting the spinal nerves and the second sympathetic thoracic ganglion were much larger than lower levels. There was considerably less variability in the anatomy of the rami communicantes at successive levels. Among the 59 cadavers dissected, only 14.3% (9/59) had similar anatomy of thoracic sympathetic chains at both sides. As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intrathoracic nerve of Kuntz from the secon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first intercostal nerve or brachial plexus were observed in 55.9% (66/118). The incidence of descending rami communicates from the secon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third intercostal nerve and from the thir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fourth intercostal nerve were 49.2% (58/118) and 28.0% (33/118). And the incidence of ascending rami communicates from the thir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second intercostal nerve and from the fourth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third intercostal nerve were 6.8% (8/118) and 3.4% (4/118), respectively. Conclusion: Based on the various anatomical evidences of the rami communicantes from this study, only the ramicotomy at the third sympathetic ganglion level is insufficient for the treatment of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to decrease the difference of surgical results and recurrences. When one is planning to perform the ramicotomy for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it is advantageous to divide the intrathoracic nerve of Kuntz on the second rib and the descending or ascending rami communicantes on the third and the fourth ribs as well as all the communicating rami from the third sympathetic ganglion.

MICRONEU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USING THE SURAL NERVE;HISTOLOGIC STUDY (비복신경을 이용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신경재건;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yung-Jin;Kim, Byeong-R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30-36
    • /
    • 1991
  • Various nerves from many areas of body can be used as a donor of autogenous nerve graft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n the grafting procedure of nerve repair, the best results will be achieved with a maximum approximation of fascicular surface at both the porximal and the distal stumps. Therefore, appropriate selection of donor nerve will bring out the best results. The sural nerve has been us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donor nerve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The authors examined the fasc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sural nerve microscopically and compare this results with our previous report of the greater auricular nerve and that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 PDF

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with Varient Nerve Innervation: A Case Report (해부학적 변이를 가지는 전방골간신경 증후군: 1예 보고)

  • 이준호;나재범;김재수;유진종;이경규;정성훈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6 no.2
    • /
    • pp.147-151
    • /
    • 2002
  • 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weakness of the flexor pollicis longus,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and the pronator quadratus in the presence of normal sensation. Although MR imaging findings of 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has been reported in a few articles, we report herein a case of an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involving more than usual muscles innervated by anterior interosseous nerve, caused by varient nerve innervation.

  • PDF

Anatomical observation on the Triple Energizer Meridian Muscle in human (수소양 삼초경근의 해부학적 연구)

  • Park, Kyoung-Sik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4 no.1
    • /
    • pp.65-77
    • /
    • 2007
  • 목 적 : 본 연구(硏究)는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頸筋)의 이론적(理綸的) 근거(根據)를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제공(提供)하고 임상(臨床)에 경근(經筋)의 정확(正確)한 적용(適用)을 위함이다. 방 법 : Cadaver에 경근(經筋)을 표시(表示)하고 각각(各各)의경 경혈부위(經穴部位)에 표식(標識)와 pore 작업을 수행하고 각 경혈부(經穴部)를 피부(皮膚), 근막(筋膜), 그리고 근육(筋肉)의 천층(淺層), 중문층(中問層), 그리고 심층부(深層部)를 순서적(順序的)으로 해부(解剖)하여 근육(筋肉), 신경(神經), 혈관(血管) 등을 관찰(觀察)한다. 결 과 및 결 론 :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찰(考察)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근(筋) 육(肉) : 천층에 근막(TE1), 근막확장대(TE2), 근막과 근간결합(TE3), 근막과 신근지대(TE4), 근막과총지신근건(TE5), 근막및 총지신근과 소지신근간(TE6), 근막과 소지신근(TE7), 총지신근(TE8), 척측수근신근과 소지신근간(TE9), 상완삼두근건(TE10, 11), 상완삼두근(TE12), 삼각근(TE13), 삼각근및 극하근과 극상근간(TE14). 승모근(TE15), 흉쇄유돌근(TE-16, 17, 18), 후이개근(TE19, 22), 상이개근(TE20), 전이개근및 이하선근막(TE21), 안륜근(TE23), 중층에 소지신근건과 총지신근건간(TE4), 측두근막과 측두근(TE2O, 22, 23), 심층에 배측골간근(TE3), 시지신근과 골간막(TE5) 장모지신근(TE6), 시지신근(TE7), 장지신근과 장모지외전근간(TE8, 9), 상완삼두근(TE13), 견갑거근(TE15), 두판상근(TE16), 경상설골근과 하악이복근간(TE17) , 이복근(TE18) .2) 신(神) 경(經) : 천층에 척골신경의 배측지(TE1, 2, 3), 후전완피신경(TE4, 5, 6, 8, 9, 10, 11), 내측전완피신경(TE5, 6, 7, 8, 9, 10, 11), 후상완피신경(TE12, 13), 상외측상완피신경(TE13), 외측쇄골상신경(TE14, 15),대이개신경(TE16, 17, 18, 19), 소후두신경(TE19, 20), 이개측두신경(TE20, 21, 22), 안면신경측두지(TE22, 23), 관골측두신경(TE23), 중층에 견갑상신경(TE15), 견갑배신경(TE15), 경상설골근신경(TE17), 후이개신경(TE18, 19, 20), 안면신경측두지(TE20, 21, 22), 심층에 후골간신경(TE5, 6, 7), 요골신경심지(TE8, 9, 12, 13), 견갑상신경(TE14), 액와신경가지(TE14), 부신경(TE16), 안면신경과 부신경가지(TE17), 설인신경(TE17), 설하신경(TE17), 경신경고리(TE17), 미주신경(TE17), 안면신경 (TE18). 3) 혈(血) 관(管) : 천층에 척측정맥배측지(TE1, 2), 고유수장지동맥배측지(TE1), 배측중수골동맥배측지(TE2), 배측중수골정맥(TE3), 척측피정맥(TE4, 5, 6, 7, 8, 9, 10, 11), 배측정맥궁(TE4), 부요측피정맥(TE6, 8, 9),요측피정맥(TE10, 11), 후견봉정맥가지(TE13, 14), 후이개동 ${\cdot}$ 정맥(TE16, 17, 18, 19, 20), 전이개동 ${\cdot}$ 정맥(TE20), 천측두동 ${\cdot}$ 정맥(TE22, 23), 중층에 후상완회선동맥(TE14), 견갑배동맥(TE15), 견갑상동맥(TE15),천측두동 ${\cdot}$ 정맥(TE21), 관골측두동 ${\cdot}$ 정맥(TE23), 심층에 배측중수골동맥(TE3), 배측수근동맥궁(TE4), 후골간동맥(TE4, 5, 6, 7, 8, 9), 전골간동맥(TE6, 7, 9), 심상완동맥(TE10, 11), 상완동맥측부지(TE10, 11), 중간 측부동맥(TE12), 요측측부동맥(TE12), 심상완동맥가지(TE13), 후상완회선동맥(TE13), 견갑상동맥(TE14), 후두동 ${\cdot}$ 정맥(TE16, 17), 내경정맥(TE17). 결 론 : 1.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은 근육(筋肉), 그리고 관련(關聯) 신경(神經), 혈관(血管)으로 구성된다. 2. 본 연구(硏究)는 경근(經筋)에 관한 기존(旣存)의 연구(硏究)와 비교(比較)하여 볼 때에 경근(經筋)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있어서 약간(若干)의 차이(差異)를 보여준다. 3.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결동(硏究結東), 경근(經筋) 근육(筋肉)을 지배(支配)하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과 경근(經筋)을 스쳐 지나가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은 구분(區分)된다.

  • PD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Recurrent Motor Branch Entrapment: A Case Report (수근관 증후군에 동반된 운동 반회 신경 가지의 포착: 증례보고)

  • Kwon, Young Woo;Choi, In Cheul;Kwon, Hee-Kyu;Park, Jong Woong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v.23 no.4
    • /
    • pp.267-270
    • /
    • 2018
  • Recurrent motor branch entrapment syndrome is a compressive mononeuropathy of recurrent motor branch of median nerve. It is a rare condition as a cause of thenar muscle wasting and may have different pathogenesis. If such an anatomical variation is the 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nar muscle atrophy remains if only the transcarpal ligament release is performed. We report a 25-year-old male patient with carpal tunnel syndrome with thenar muscle wasting 1 month ago.

슈밤머담의 개구라 해부학과 뢰벤훅의 정충관찰의 문제

  • Bae, Seon-Bok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2a
    • /
    • pp.313-326
    • /
    • 2015
  • 데카르트는 사후에 출간된 1662년 "인간론"에서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모델을 이용하여 인간신체의 신경기능과 근육운동에 대하여 기계론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크 과학기술의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를 모델로 근육운동이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된 것을 보여준 실험이었다. 근육운동은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될 때 이를 기계론적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고 본 데카르트의 동물영혼에 관한 견해는 출간 이후 3년 만에 네덜란드 자연학자, 해부학자, 현미경학자, 철학자 슈밤머담(Jan Swammerdam 1637-80)이 도전하였다. 그는 1664년 12월 8일 보르흐 앞에서 마취 없이 살아있는 개구리의 심장을 해부하고 두뇌 제거하는 전극실험으로 개구리의 근육운동이 데카르트가 가정하는 동물영혼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반박하였다. 슈밤머담은 이 실험 이전에도 이미 라이덴 대학에서 여러 가지 실험으로 명성을 쌓았고 이 실험으로 해부학과 생리학의 출발을 알렸다. 뢰벤훅은 1673년 270배 확대 렌즈를 측정 대에 설치하여 눈에 가까이 갖다 대 고착시킨 첫째 동물이라는 뜻의 박테리아(${\pi}{\rho}\acute{\omega}{\tau}o$ ${\zeta}\acute{\omega}o{\nu}$)를 관찰하였다. 대학에서 전공하지 않았다는 비전문가로서 뢰벤훅이 이 연구에 뛰어들게 되는 것은 바로크 과학기술문명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라프는 그해 4월 왕립학회에 그가 빗물이나 연못물에서 채취하여 관찰한 미생물을 1677년에 아니말쿨레스(animalcules)라 불렀다는 것을 알렸고 이 관찰은 나중에 왕립학회 검증으로 확증되었다. 뢰벤훅이 명성을 얻게 된 것은 그라프가 그를 학문적으로 이끌어주었기 때문이다. 뢰벤훅에서 광학수업을 받은 하르췌커는 1694년 현미경으로 인간정액을 관찰하는 동안에 하르췌커는 정액 내에 수많은 아니말쿨레스로서 호문쿨리(homunculi)가 살고 있는 것을 보고 그 존재를 요청하였다. 하르췌커는 정규 학문과정에서 성장한 전문가로 뢰벤훅에서 렌즈닦는 기술을 습득하므로 정액주의 운동의 첨단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지만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였다. 이 발표는 17세기 후반 슈밤머담과 뢰벤훅이 실험철학에 기초한 곤충과 동물 및 미생물 세계의 연구 성과를 과학과 윤리 혹은 신학과의 상보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이들 연구방법을 이신론과 수사학의 입장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17세기 후반에 곤충학의 대가인 슈밤머담과 하르췌커에서 동물생성의 문제에 이신론의 물음은 물질과 정신과의 관계를 해명하려는 과학과 신학과 철학의 경계의 물음이다. 이 경계에서 이신론의 수사학적 접근은 개별분과에서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아포리아를 풀어가는 인문학적 역할에 기여를 할 수 있다.

  • PDF

Review of the Neuroscientific Evidences for the People With Schizophrenia (조현병 환자의 신경과학적 근거에 대한 고찰)

  • Shin, Eun-Si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2 no.1
    • /
    • pp.5-1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address the flow of current neuroscientific researches and to provide for the clinicians with therapeutic evidences for schizophrenia which can help them clinical decision making. Since the very beginning, a lot of scientific studies about schizophrenia have been undertaken. In this review, I describes the evidences focused on development of schizophrenia including neurobiological dysfunction, neurodevelopmental model, Kalirin,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and neuroanatomic abnormalities based on neuroimaging studies. In conclusion, schizophrenia influencing on broad impairment of human function such as activities of daily life, occupations, and relationships has been studied underlying causes and treatments, but still remained uncertainty. However, there are plenty of useful evidences available for the clinicians to make a good therapeutic ch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