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각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tomic Unit-based Post Editing for Hallucination Reduction (환각 현상 완화를 위한 단위 사실 기반 사후 교정)

  • Yonghwan Lee;Jeongwan Shin;Hyun-Je 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22-227
    • /
    • 2023
  • 환각 현상이란 LLM이 생성 태스크에서 사실이 아닌 내용을 생성하거나 근거가 없는 내용을 생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환각 현상은 LLM이 생성한 출력물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환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사후 편집 모델 중 하나인 RARR는 입력 텍스트를 질문들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편집하여 환각을 완화하였지만 이전 단계의 편집 오류가 전파되거나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은 환각 현상 완화를 위한 단위 사실 기반 사후 교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입력 텍스트를 단위 사실로 분해하고 각 사실에 대응하는 질문을 생성한 후 검색된 관련 문서로 환각 여부를 판단한다. 환각이라 판단되면 편집을 수행하여 환각을 완화한다. 병렬적으로 편집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의 순차적인 오류 전파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연구에 비해 더 빠른 사후 편집을 진행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RARR보다 Preservation Score, 원문과의 사실성 일치여부, 의도 보존 여부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 PDF

현대패션에 표현된 사이키델릭에 관한 연구

  • 박순천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93-94
    • /
    • 2003
  • 사이키델릭의 어원적 의미는 그리스어로 정신을 나타내는 사이케(psyche)와 영어로 섬세함을 지칭하는 델리커시(delicacy)의 합성어이다. 또한 환각제의 복용에 따른 환각상태를 뜻하는 LSD로 대표되는 말이기도 하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환각제를 복용하면 통상적인 정신과 감각의 해방감을 맛보게 되고 이것이 확대되면 일종의 환각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LSD상태에서 느끼게 되는 감각의 해방과 체험을 사이키델릭이라고 한다. (중략)

  • PDF

Removing object hallucination through a reviewing mechanism (객체 탐지 및 빔 서치를 이용한 영상 주석 환각 해결)

  • Ko, Jieun;Jung, Seungjun;Kim, Changi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43-245
    • /
    • 2019
  • 영상 주석 생성 기술은 주어진 영상에 대하여 최대한 자세히 묘사하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는 생성된 주석과 입력 영상 간의 연관성이 가장 중요하다. 영상 주석 생성과 관련된 최근 연구들은 영상 내에서 집중해야 될 후보 영역들을 먼저 추출한 뒤, 이들을 LSTM 디코더 등에 입력하여 주석을 생성한다. 비록, 최근에 제안된 방법들이 입력 영상과 매우 연관성 높은 주석들을 생성하지만, 아직 영상 안에 존재하지 않는 물체가 종종 생성된 주석에 포함되는 환각(Hallucination)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Beam search를 이용하여 기존 방법들보다 더 정확한 여러 주석 후보 군을 생성한 뒤, 각각의 주석을 객체 검출기에서 나온 객체 후보군과 비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한 방법을 최근에 제안된 주석 생성 기술에 접목한 결과, 환각 문제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S COCO 온라인 서버 제출을 통하여 주석 생성기술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Korean QA with Retrieval Augmented LLM (검색 증강 LLM을 통한 한국어 질의응답)

  • Mintaek Seo;Seung-Hoon Na;Joon-Ho Lim;Tae-Hyeong Kim;Hwi-Jung Ryu;Du-Seong 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90-693
    • /
    • 2023
  • 언어 모델의 파라미터 수의 지속적인 증가로 100B 단위의 거대 언어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을 구성 할 정도로 언어 모델의 크기는 증가 해 왔다. 이런 모델의 크기와 함께 성장한 다양한 Task의 작업 성능의 향상과 함께, 발전에는 환각(Hallucination) 및 윤리적 문제도 함께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 중 특히 환각 문제는 모델이 존재하지도 않는 정보를 실제 정보마냥 생성한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 생성은 훌륭한 성능의 LLM에 신뢰성 문제를 야기한다. 환각 문제는 정보 검색을 통하여 입력 혹은 내부 표상을 증강하면 증상이 완화 되고 추가적으로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 응답에서 검색 증강을 통하여 모델의 개선점을 확인한다.

  • PDF

Is it a real Conspiracy or just a Paranoia? : The Crying of Lot 49 (실제 음모인가 아니면 단순한 환각인가? - 『제49호 품목의 경매』를 중심으로)

  • Ryu, Da-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451-458
    • /
    • 2016
  • The Crying of Lot 49 presents the writer's major ideas through Oedipa Maas who tries to seek out the truth of a mysterious underground postal network, Tristero. Of the many themes inherent in The Crying of Lot 49, probably the most important and widespread of all is 'paranoia', which plays a major role in helping us to comprehend and appreciate other thematic ideas. The other main motif in this novel is a conspiracy. However, it is really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azed environment. Therefore, it is uncertain that the existence of Tristero is a real conspiracy or just a paranoia. The world revealed to her after considering Tristero's knowledge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world previously familiar to Oedipa and she discovers that the nature and origins of Tristero will not be a quest of simple curiosity any longer and she greatly needs to escape from the closed system of perception. The secret of the Tristero case should be found in order to return to reality. In addition, accepting what Oedipa has seen and heard may be a reasonable way for her to become a paranoiac.

Gender Differences in Narcolepsy Symptomatology among Adolescents (청소년에서 기면병 증상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 Han, Eon-Kyung;Shin, Yoon-Kyung;Yoon, In-You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2 no.2
    • /
    • pp.133-138
    • /
    • 2005
  • Objectives: Narcolepsy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As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narcolepsy symptomatology in adolescents,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and prevalence of narcolepsy tetrad among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Methods: Total 20,407 subjects, ages 14-19 years filled out Ullanlinna Narcolepsy Scale (UNS). Subjects whose UNS scores were equal to or more than 14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Variables included questions to evaluate tetrad of narcolepsy. Results: UNS scores were higher in female than male ($11.1{\pm}5.2$ vs. $9.6{\pm}4.5$, p<0.001). Subjects scoring the UNS equal to or more than 14 were 4,535 (22.2% of all the participant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female than in male (p<0.001).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like symptoms,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in subjects of UNS ${\geq}14$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ubjects than male ones. However,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requencies of severe sleep attack and cataplexy-like symptoms. Sleep paralysis was most frequently reported during sleep.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r=0.235, p<0.01). Conclusions: Our findings were that female adolescents complained more frequently narcolepsy symptoms than male subjects. Female adolescents might be more sensitive than male ones to physical complaints such as sleepiness or muscle weakness.

  • PDF

Exploring Factors to Minimize Hallucination Phenomena in Generative AI - Focusing on Consumer Emotion and Experience Analysis - (생성형AI의 환각현상 최소화를 위한 요인 탐색 연구 - 소비자의 감성·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 Jinho Ahn;Wookwhan J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4 no.1
    • /
    • pp.77-90
    • /
    • 2024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methods of leverag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service sectors where consumer sentiment and experience are paramount, focusing on minimizing hallucination phenomena during usage and developing strategic services tailored to consumer sentiment and experience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both mechanical approaches and user-generated prompts, experimenting with factors such as business item definition, provision of persona characteristics, examples and context-specific imperative verbs, and the specification of output formats and tone concepts. The research explores how generative AI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ccuracy of personalized content and user satisfaction. Moreover, these approaches play a crucial role in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hallucination phenomena that may arise when applying generative AI in real services, contributing to consumer service innovation through generative AI.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significant role generative AI can play in richly interpreting consumer sentiment and experiences, broadening the potential for application across various industry sector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for consumer sentiment and experience strategies beyo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However, a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relatively novel field of generative AI technology, there are many areas where it falls short. Future studies need to explore the generalizability of research factors and the conditional effects in more diverse industrial settings. Additionally,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continuous research into new forms of hallucination sympto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strategies to address them will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