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of the Northern Part, Kyungpook Province using the Methodology of Physiognomy and Numerical Syntaxonomy

상관적 방법과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한 경북 북부지방 산지의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 ;
  • ;
  • ;
  • ;
  • Keiichi Ohno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
  • Yukira Mochida (Faculty of Education, Yokohama National Univers)
  • 송종석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노광수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정화숙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송승달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The forest vegetation in Mts. Ilwol, Chongryang, Milim, Honglim, Yongdung, Agi and 607 m peak of the northen part of Kyungpook province, Korea was classifi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 physiognomy and numerical syntaxonomy. The forest was divided into the ten communities belonging to the three groups by the species combination of the tree layer based on their dominances. The three groups also were corresponded well with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ut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showed tha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only two groups for having any ecological senses. A result of DCA was corresponded closely with that of TWINSPAN and explained some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lassification by the species combination of the tree layer is also applicable to the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study results of the ZM phytosociology.

상관적,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해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일월산, 청량산, 미림산, 홍림산, 영등산, 아기산, 607고지 일대에 분포하는 삼림식생을 분류, 기슬하였다. 우점도에 기본을 두어 교목층의 종조합에 따른 상관적 의미의 분류에서는 크게 세 군(소나무군, 굴참나무군, 신갈나무군)에 통합되는 10군락이 구분되었다. 이 상관적 의미의 분류를 몇가지 군으로 통합할 때, 그것은 cluster분석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TWINSPAN에 의한 분류에서는 크게 두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상관적 의미에 있어서 굴참나무군과 소나무군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DCA서열은 TWINSPAN의 분류 결과와 잘 조화되었으며, 몇가지 환경경도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교목층의 종조합이 군락분류에 의미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또 위의 군락분류를 ZM식물사회학의 기존 군락체계와 비교, 고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