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지리산 천왕봉지역 구상나무의 연륜기후학적 해석

  • 박원규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 서정욱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s) and tree-ring growth of Korean fir (Abies koreana) growing at subalpine (1,600∼l,700m) zone on the south slope, Joong-Bong and the north slope, Changgun-Bong in the Cheonwang-bong area in Chiri mountains in the southern Korea were analyzed. Two cores from each of 10∼12 trees were extra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standardized) chronologies and climate was analyzed by the response-function method. Climate variables could explain 45.9∼53.8% of total variance in the chronologies. The precipitation response function of Korean fir were similar at both sites in overall ; positive for March∼May and August, and negative for February and July. The south-slope fir of Joong-Bong possessed higher negative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for February and August than north-slope one. The positive response function for April temperature was significant for both sites. In contrary to other subalpine species (e.g., Pinus koraiensis and Taxus cuspidata) in South Korea, whose growth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in most seasons, the growths of Korean fir trees in Mt. Chiri appeared to be mainly limited by the moisture regime of spring prior to the cambial growth and early growing season.

지리산 천왕봉 아고산 지역 (해발 1,600∼l,700m)에 자라는 구상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북사면(장군봉)과 남사면(중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지역에서 10여 본에서 생장편을 임목당 2개씩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코어는 크로스데이팅후 연륜폭을 측정하여 얻어진 연륜시리즈(연대기)를 표준화한 후, 기후인자(월강수량과 월평균기온)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반응함수로 즉 월기후인자로 연륜연대기 총변동의 45.9∼53.8%를 설명할 수 있었다. 강수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는 중봉과 장군지역 모두에서 3∼5월, 8월에 대해 정의 관계를 보이고 2월과 7월에 대해서는 부의 관계를 나타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기온에 대한 관계는 남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가 북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에 비해 2월과 8월에서 높은 부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4월 기온과는 두 지역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두 사면지역의 구상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는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아한대 수종의 연륜생장이 강수보다는 기온에 민감하여 월기온과 대체로 정의 관계를 갖는 반면에 지리산 구상나무의 경우는 기온과 부의 관계를 갖는 경향이 크며 강수의 영향 특히 봄기간 동안의 수분수지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구상나무 연륜과 기후와의 유의한 관계를 이용하여 향후 소빙기를 포함하는 장기간의 고기후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