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phra Origin of Goryeri Archaeological Site, Milyang Area, Korea

밀양 고례리 화산 유리물질 기원 해석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Goryeri archaeological site is located in the upstream valley of the Danjang River. The basement rocks of the area are composed of the Cretaceous to Palaeogene biotite granite (KbGr), acidic dyke (Kad), Milyang Andesite (Kma) and Jyunggagsan Formation. Among them Milyang Andesite and Jyunggagsan Formation are prevailed in archaeological site and they are composed of reddish brown tuffaceous shale, sandstone and conglomerate, with intercalations of acidic tuffs and lapilli tuff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compare REE pattern of the soil-sedimentary deposits with those of surrounding rocks, but also to identify vitric tephra in the soil-sedimentary deposits derived from the andesite, acidic tuff and lapilii tuff, in order to illucidate the provenance of the vitric tephra. The rare earth element(REE) of the soils and sedimentary deposits results in the same REE pattern with those analyzed from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s. This indicates that the soils and sedimentary deposits are originated from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s, most probably from the andesite and lapilli tuff. In addition, vitric tephra were identified both in the Quaternary in-situ weathered soils and sedimentary deposits (PMU-13 and PMU-17), and in the weathered surrounding lapilli tuff. These vitric tephra a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ese AT(Aira Tanzawa) -tephra. The latter is predominant with clean, platty, bubble-walled and Y-shaped vitrics, while the former is conspicuous with those shapes of large and diverse size and devitrified, as well as having secondarily bubbled-surfaces reflecting surface weathering. The size of vitric fragments in the Goryeri site is about 300${\mu}{\textrm}{m}$ and large in size in compasion to 150${\mu}{\textrm}{m}$ of Japanese AT-Tephra. The interim results of the research are contradictary to the explanations based on a series of AT-tephra researches carried by Japanese scholar. In short, the vitric materials of the Goryeri archaeological site are most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weathering products of the surrounding basement rocks, and are different from the AT-tephra in their size, shape and devitrification properties. Thu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have a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which is more emphasized the magmatic genesis of these vitric tephra in addition to the external shape and morphology.

고례리 유적지는 단장천의 상류 산간계곡에 위치하여 있으며, 주변 지질은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치는 흑운모화강암(KbGr), 산성암맥류(Kad), 밀양안산암(Kma), 정각산층(Kch) 및 이에 협재하는 산성 응회암, 산성응회암과 라필리 응회암(Kcht)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암석 중에서 밀양안산암과 정각산층이 부지 일대에 널리 분포하는 기반암이며, 후자는 주로 저색응회질 셰일, 사암, 역암 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례리 부지 일대의 토양-퇴적물과 주변 기반암인 안산암, 산성응회암, 라필리 응회암으로부터 이들의 희토류 원소 특성과 화산 유리물질을 동정하여 토양-퇴적물이 이들 기원암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REE분석결과, 토양-퇴적물의 희토류 원소 분포특성은 주변기반암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것은 고례리 유적지내의 토양-퇴적물이 주로 주변 안산암과 라필리응회암, 산성응회암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지시한다. 한편, 본 유적지의 토양-퇴적물 PMU-13과 PMU-17 속에서, 그리고 라필리 응회암의 풍화대내에서 화산 유리물질이 발견되었다. 이들을 일본의 AT-테프라와 비교해 보면, AT-테프라는 표면이 깨끗하고, 평탄형이거나 버블형을 가지며, Y자형 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반하여, 고례리의 화산 유리물질은 입자크기가 크고 다양하며, 탈유리화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유리 표면은 풍화가 많이 진행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구결과는 기존 일본학자들에 의한 일련의 AT-테프라 연구결과와는 상충된다. 요컨데 고례리 유적지의 유리물질은 주변 응회암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 후, 토양-퇴적물 속으로 유입되었으며, 일본의 AT-테프라와는 크기, 형태 및 탈유리화 특성상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유리물질의 외형적인 조직 연구에 추가하여 마그마 성인에 관한 심층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yrs BP (유공충) 5,322$\pm$80 yrs BP(유공충) 4,419$\pm$50 yrs BP (나뭇조각) 및 978$\pm$50 yrs BP(조개) 이다. 이 코아의 하부 즉코아길이 250cm에서 414cm 까지는 담수환경 또 담수환경에 매우 근사한 환경으로 해석되어진다, 이 코아간격에서의 탄소연대측정값은 7,539$\pm$60 yrs BP이며 이때 해수가 처음 이 지점에 이르지 않았나 본다, 그이후 6,172$\pm$18 yrs BP에는 급격한 해 수면상승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있었다. 자갈의 형태를 입도별로 삼각도표에 나타낸 결과 입도가 작을수록 둥글거나 편장된 (elongate) 형태로의 방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자갈의 형태는 일차적으로 모암의 암석성분에 의해 결정되나 운반된 이후에는 파랑의 작용을 끊임없이 받으면서 분급작용과 자갈의 크기에 따른 형태적 진화과정을 겪는 것으로 사료된다. 및 Seebeck 계수 측정을 위하여 각각 2$\times$2$\times$10$mm^3$ 그리고 5$\times$5$\times$10TEX>$mm^3$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였다.준비하였다.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