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istribution Properties on Astringent Persimmons(Diospyros Kaki L.)

떫은감의 유통특성 분석

  • 노영균 (경북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
  • 장성호 (경북농업기술원) ;
  • 박석희 (경북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
  • 변효숙 (경북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
  • 성전중 (경북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distribution properties on astringent Persimmons(Diosyros Kaki L). We selected one hundred farms in Sangju and Cheongdo regions, which ale major region of astringent persimmon production in Kyungpook province, and surveyed the selling type and the optimal farm scale. As a result of economic analysis, between manufacturing and selling of dried persimmon and producing and selling of fresh persimmon, the former made the higher gross receipts, income and net income recorded by 187, 136 and 162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e latter 100. So, manufacturing and selling of dried persimmon from astringent persimmon is a way of raising operation outcome.

떫은감의 유통특성 분석을 위하여 주산지인 상주와 청도지방의 감 재배농가 각각 50호씩 총 100호의 농가를 선정하여 '96-'97 2년간 농가 가공 및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감 재배 면적은 최근 4년간 37.9% 증가하였으며 조사 지역인 상주는 같은 기간 약 2배정도 증가하였고 청도는 5.9% 정도 증가하였다. 조사지역별 떫은감의 판매형태는 상주는 시장 판매가 42.0%, 우편주문 판매 17.8%인데 비해, 청도반시의 경우 산지 수집상이 37.2%, 농협판매가 31.0%, 서울시장직송이 26.2% 순이었다. 지역별 감의 가공 및 유통처리 조사결과 상주지방의 조사농가는 모두 곶감으로 가공하여 3kg 나무상자나 2kg 종이상자로 포장하여 출하하고 있었으며, 청도지방은 15kg 상자에 넣어 연시를 제조하여 출하하고 있었다. 품목별 ha당 2년 평균 경제성분석 결과, 상주지방은 곶감으로 제조하여 판매할 경우 생감 판매시보다 조수입이 1.87배, 소득과 순수입은 각각 1.36, 1.62배 높아 곶감을 생산하여 출하하는 것이 경영성과를 높이는 최선의 길이라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