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천 중류의 충적단구

The Alluvial Terraces of the Midstream of the Ansung River

  • 이의한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발행 : 1999.03.01

초록

안성천의 중류인 안성읍 옥상리와 미양면 양지리에는 충적단구가 발달되어 있다. 충적단구와 인접한 범람원은 대개 점이적으로 만나지만 단구애를 통해 구분되기도 한다. 단구는 전반적으로 평평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경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충적단구의 퇴적물 중 점토의 SiO2/Al2O3비와 SiO2/R2O3비를 계산한 결과, 라테라이트화 작용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충적단구가 최후간빙기 이후에 형성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적단구가 안성천 하구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들 단구가 기후단구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地理學 v.18 韓國의 赤色土 風化過程의 特色 姜永福
  2. 地理學과 地理敎育 v.9 韓國의 赤色土 生成에 있어서 古土壤問題에 關한 考察 姜永福
  3. 韓國地誌(地方篇 I) 建設部 國立地理院
  4. 師大論集 v.9 漢江 下流의 沖積地形 權赫在
  5. 師大論集 v.14 論山平野 權赫在
  6.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揷橋川 下流의 沖積段丘 金基佑
  7.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雙川 河成段丘의 堆積物 特徵과 土壤特性 朴鍾元
  8.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錦江 下流와 美湖川 流域의 沖積段丘 李毅漢
  9.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永川 및 迎日 地城에 分布된 段丘地 植質土壤의 特性과 生成에 關한 硏究 鄭鍊泰
  10.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安城川 河口의 沖積地 形成硏究-粒度分析을 通하여- 黃裕晶
  11. 농사시험연구보고(토양비료·작물보호·균이편) v.17 A Study on the Clay Minerals of Soils in Korea Choi,D.U.
  12. Soil Sci. v.21 Some comparisons of the properties of humid tropical and humid temperate American soils,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cated relations between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Bannet,H.H.
  13. Pedology, Weathering, and Geomorphological Research Birkeland,P.W.
  14.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Fairbridge,R.W.(ed.)
  15. Soil Geomorphology : An integration of pedology and geomorphology Gerrard,J.
  16. Geomorphological Techniques Goudie,A.S.
  17. Jour. of Agr. Sci. v.17 Laterite and lateritic soils in Sierra Leone Martin,F.J.;Doyne,H.C.
  18. The Pleistocene Period Zeuner,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