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원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Land Uses in the Nakdong River Floodplain Using RapidEye Imagery and LiDAR DEM (RapidEye 영상과 LiDAR DEM을 이용한 낙동강 범람원 내 토지 이용 현황 분석)

  • Choung, Y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189-199
    • /
    • 2014
  • Floodplain is a flat plain between levees and river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land uses in the Nakdong River floodplain using the RapidEye imagery and the given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M(Digital Elevation Models). First, the levee boundaries are generated using the LiDAR DEM, and the area of the floodplain is extracted from the given RapidEye imagery. The land uses in the floodplain are identified in the extracted RapidEye imagery by the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Analysis) clustering. The overall accuracy of the identified land uses by the ISODATA clustering is 91%. Analysis of the identified land uses in the floodplain is implemen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land cover clust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area of the river occupies 46%, the area of the bare soil occupies 36%, the area of the marsh occupies 11%, and the area of the grass occupies 7% in the identified floodplain.

Floodplain and Delta (범람원과 삼각주)

  • Lee, Eui-H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15-23
    • /
    • 2011
  • The first paper on the floodplain in Korea was published in the late 1960s. In 1970s and 1980s the study on the floodplain and delta of Korea was led by Hyuck Jae Kwon(emeritus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and Hwa-Ryong Jo(emeritus professo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won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study and Jo analyzed the alluvial landforms microscopically. Since 1990s, the study on the floodplain and delta has entered a phase of stagnation.

밀양강 중류부 하천지형 발달과 선사$\cdot$고대인의 거주환경

  • 최정민;윤순옥;황상일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8-12
    • /
    • 2003
  • 범람원은 홍수시 하천의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해서 하천의 운반물질인 부유 하중이 하도를 넘어 하천 양안에 범람하여 퇴적되면서 형성된 지형으로, 유량이 많고 하곡이 넓은 지역에서 잘 발달한다. 범람원 중 자연제방은 지면이 높아 홍수의 피해가 적고, 배수가 잘 되기 때문에 취락의 입지나 농경에 유리하고, 배후습지는 지하수위가 높아 배수가 불량한 지형으로 오늘날에는 농경지로 개간하여 활용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with a coupled 1D-2D hydraulic model (1·2차원 연계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개발)

  • Kim, Yeonsu;Noh, Joon-Woo;Hur, Young-Teck;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1-261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국지성 돌발호우 및 태풍 규모의 증가로 홍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대비책 마련과 피해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툴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하천과 연계된 홍수범람 해석모형인 HEC-RAS(USACE), Mike Flood(DHI) 등을 개발 및 배포하고 있는 반면에 국내에서 개발된 모형들은 연구목적으로 활용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공구조물의 운영을 고려한 1차원 하천흐름해석모형(K-RIVER) 및 제방 또는 댐으로부터의 범람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2차원 홍수범람해석모형(K-FLOOD)을 이용하여 하천으로부터의 홍수범람현상을 하천과 범람원 사이의 양방향 흐름을 고려하여 연계해석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경상남도 함안국 법수면 백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벽산제를 대상으로 2002년 8월 6일 홍수사상에 의한 홍수범람현상의 재현을 통하여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인 HEC-RAS와 FLUMEN을 이용한 결과 및 HEC-RAS 1D/2D연계모의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K-RIVER와 K-FLOOD를 연계모의한 결과는 HEC-RAS 1D/2D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HEC-RAS와 FLUMEN을 이용하는 경우 하천과 범람원의 수위에 따라 양방향으로 생성되는 흐름에 대한 모의가 불가능하여 하천의 수위저하시 범람원에서 하천으로의 유입을 고려할 수 없어 범람면적이 감소되는 현상을 모의할 수 없음에 따라 침수심 및 침수시간을 정확히 모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Historical Geography of Land-Use and Agriculture Along the Lower Nam-River Floodplains (남강 하류 범람원의 토지이용과 농업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Jeon;Son, Il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4 no.2
    • /
    • pp.31-47
    • /
    • 1998
  •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rical geography of land-use and agriculture along the Lower Nam-River floodplains. The reclamation process of the river floodplains, the cultivation methods on the reclaimed lands, and the land-use patterns and processes are investigated. The Nam River, one of the major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flows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Ham-An and Eu-Ryong Guns. Larger floodplains are located in Ham-An Gun. The floodplains of Ham-An Gun have been surveyed intensively in this study. In South Korea, the alluvial plains, mostly located along the river valleys, have been reclaimed to provide fertile agricultural lands. Those along the upper river valleys were reclaimed before those along the lower river valleys. The flood-plains of Han-An Gun were reclaimed to be the largest agricultural lands of the Gun. The natural levees along the Lower Nam-River Valley were identified before the reclamation processes but now hardly identified. Relatively larger floodplains are located along the tributary streams of the Nam River. Often there are low-lying back swamps between the natural levees and the hills/mountains that rise above the floodplains. The back swamps, called 'natural bog lands' in this region, have been reduced in size and in number through reclamation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land-uses. Now about ten 'natural bog lands' are found in the Ham-An floodplains, and some of them are being reclaimed for the industrial land-use. This study suggests the emergent need of conservation for the remaining 'natural bog lands' in terms of ecology. Seven agricultural fields of large size, originated from the Nam-River floodplains,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Kun(큰들), Chung-Am(정암들), Chang-chi(장지들), Baek-San(백산들), Ha-Ki(하기들), Gu-Hae(구혜들), and Chang-Po(장포들) fields. The Kun field was reclaimed during the Japanese control and the Gu-Hae, in the 1950s. All of those except the above two fields were reclaimed after the mid-1960s. The Nam-River Dam in Chinju, completed in 1969, contributed the reclamation processes along the Lower Nam-River floodplains. The rice acreage of the region has been reduced slowly since 1970 but the rice production of the region has been relatively stable (Table 4). Rice culture had been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e on the reclaimed lands for decades before the greenhouse vegetable cultivation became more important in the 1980s. Among the vegetable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the watermelon is the dominantly leading one. Watermelons are usually harvested two or three times in a year though it is possible to harvest four times in one year. The rotation of watermelons and rice is common in the region. It is known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Nam-River floodplains in Ham-An Gun is the most suitable for watermelon cultivation in South Korea.

  • PDF

A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ethod in Medium to Small sized Catchment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 Moon, Chang-Geon;Park, Jong-You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6-1481
    • /
    • 2009
  • 최근 기상이변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국가차원과 더불어 지역단위의 홍수방어대책이 많은 사업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하천기본계획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업들은 실제 피해지역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홍수 등의 피해가 예상되는 위험지역에 대해서도 그 원인과 대책을 제시해야한다. 따라서 피해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예측하고 그 원인을 찾는데 있어 최근 홍수범람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면서 다양한 해석모형과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구역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은 GIS Tool에 대한 이해도 부족, 원 자료의 부족, 지형 구축을 위한 자료생성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홍수범람구역의 결정을 위한 전산프로 그램의 기능향상은 점차 향상되는데 비해 지형구축 등과 같은 범람해석 프로세스 내에서 상당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바 작업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으로 인해 실무자들에게 널리 적용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관점에서 홍수범람해석의 요구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두가지 해석 기법을 통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여 해석 과정 및 결과 등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기법으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 실용성, 신속성 등이 고려된다고 판단되는 Civil 3D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 및 측량자료와 같은 원 자료로부터 3D 지형을 구축하고 Civil 3D의 Extension 프로그램인 HEC-RAS Tool과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전 후처리에 연계함으로서 각 대상유역별, 빈도별 홍수위에 따른 홍수범람구역과 수심 및 범람지역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기법으로서 실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ArcGIS를 이용하여 3D 지형을 구축하고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와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ESRI)의 협력개발로 개발된 HEC-GeoRAS와 HEC-RAS 모형을 전 후처리에 연계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두 가지 기법을 통한 홍수범람해석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두 기법간의 차이점 및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정밀한 홍수범람구역의 결정, 홍수범람 예상도 등의 재해지도 작성, 치수경제성 분석 등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lluvial Terraces of the Midstream of the Ansung River (안성천 중류의 충적단구)

  • 이의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17-26
    • /
    • 1999
  • 안성천의 중류인 안성읍 옥상리와 미양면 양지리에는 충적단구가 발달되어 있다. 충적단구와 인접한 범람원은 대개 점이적으로 만나지만 단구애를 통해 구분되기도 한다. 단구는 전반적으로 평평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경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충적단구의 퇴적물 중 점토의 SiO2/Al2O3비와 SiO2/R2O3비를 계산한 결과, 라테라이트화 작용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충적단구가 최후간빙기 이후에 형성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적단구가 안성천 하구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들 단구가 기후단구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Suwon Basin (수원 분지의 지형 환경)

  • Kee, Keun-Doh;Lee, Sang-W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300-312
    • /
    • 2004
  •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Suwon Basin consists of two great elements: mountains which surround the basin and plains and low relief hills by differential erosion of granitic area. Nothern and eastern parts of the basin surround with gneissic mountains(Mt. Kwangkyo),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sin with granitic mountains(Mt. Chilbo, etc). The basin developed on granitic saprolites is composed of two types of sub-order geomorphic elements: flood plains alongside four river(Whangkuji-chon, Seoho-chon, Suwon-chon, Wonchonri-chon) and aligned hills and mounts between the river side plains. While the low down lands provided the spatial condition for the extention of downtown of Suwon, the gneissic mountains have played the positive roles by high ecological dam effects with stable supply of water and purification of air,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