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the Magnetic Logs for a Finite Line of Magnetic Dipoles Model

유한 선형 자기쌍극자 모델에 대한 검층자료의 해석

  • Published : 19990000

Abstract

Interpretations of 3-component magnetic logging data obtained for a reinforced bar as a model of the line of the magnetic dipoles are conducted using a least squared inversion technique. The length of the bar is 1.12 m, sampling interval is 0.05 m, the distance between the bar and the borehole is 0.3 m, and the top of the bar is fixed at 0 m of depth. The bar is set to be approximately vertical. Magnetic anomalies smoothed with FFT a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invers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magnetic logging data the depth to the top, the length, the magnetic moment per unit length, the direction of the magnetization (declination and inclination), and the bearing and plunge of the line of magnetic dipoles are left as unknown parameters.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ndividual inversion of the horizontal component or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magnetic anomalies, and those from the simultaneous invers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of the magnetic anomalies shows that there exist some disagreements between each inversion result. The depth to the bottom of the bar, which is actually 1.12 m, is estimated as 1.18 m,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gnetization is estimated as -76°by simultaneous inversion. The negative value of the inclination indicates that the strength of the remnant magnetization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induced magnetiza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esultant magnetization points to the top of the bar.

선형 자기쌍극자 모델의 하나인 철근에 대하여 3성분 자력계를 이용한 자력검층을 실시한 후 검층자료를 최소 자승법에 의한 역산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철근의 길이는 1.12 m, 샘플링 간격은 0.05 m, 자력계와 철근사이의 거리는 0.3 m이며, 철근의 상단부를 깊이 0 m 지점에 고정하였다. 철근은 연직에 가깝도록 위치시켰다. FFT를 이용하여 평활화한 자기이상을 역산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검층자료의 해석을 위하여 선형 자기쌍극자의 상단부 심도, 길이, 단위 길이 당 자기모멘트, 자화방향(편각 및 복각), 경사방향과 경사각 등을 미지수로 설정하였다. 자기이상의 수평성분 및 수직성분 각각에 대한 역산 결과와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동시에 고려한 역산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각각의 역산결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자기이상의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동시에 고려하여 역산을 수행하는 것이 각각의 성분을 역산하는 경우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때 철근 하단부의 추정 심도는 1.18 m로, 실제 심도인 1.12 m에 매우 근접하며, 철근의 복각은 -76°로 추정되었다. 철근의 복각이 음(-)의 값을 갖는 것은 철근의 유도자화 강도에 비하여 잔류자화 강도가 훨씬 커서, 전체적인 자화 방향이 철근의 상단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구과학회지 v.9 유한 선형 자기쌍극자에 대한 자력 검층곡선 모델링 김진후;박경원
  2. 응용지구물리학 민경덕;서정희;권병두
  3. Ceconvolution and Inverse Theory: Application to Geophysical Problems Dimri, V.
  4. Geophysics v.56 Magnetic effect of a finite, arbitrarily oriented line of dipoles Jain, B. K.
  5. Geophysics v.40 Resistivity Inversion with Ridge Regression Inman, J. R.
  6. Technometrics v.12 Generalized Inverses, Ridge Regression, Biased Linear Estimation, and Nonlinear Estimation Marquardt, D. W.
  7. Geophysics v.7 Gravity and magnetic calculations Nettleton, L. L.
  8. Numerical Recipes: The Art of Scientific Computing(2nd. Ed.) Press, W. H.;Teukolsky, S. A.;Vettering, W. T.;Flannery, B. P.
  9. Geophysics v.43 Magnetic anomaly due to a vertical right circular cylinder with arbitrary polarization Singh, S. K.;Sabina, F. J.
  10. Applied Geophysics Telford, W. M.;Geldart, L. P.;Sheriff, R. E.;Keys, 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