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흡 소아환자에서 흡인도관을 이용한 $N_2O-O_2$ 진정

[ $N_2O-O_2$ ] INHALATION SEDATION WITH SUCTION CATHETER IN FULL MOUTH BREATHING PATIENTS

  • 윤형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마취학교실)
  • Yoon, Hyung-Ba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발행 : 1999.11.30

초록

소아치과 환자에서 협조가 안 되는 환자의 진료시 여러 가지 방법의 진정요법이나 다른 방법이 이용된다. 이 중에서도 최근의 경향은 약물을 이용하여 진정을 시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약물 투여방법 중에서도 흡입가스를 이용하여 진정을 유발하는 경우가 장점이 많아 최근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흡입가스를 이용한 경우 폐를 통해 약물이 흡수되므로 적절한 진정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호흡양상이 주 영향을 끼친다. 가스를 이용한 흡입진정 시에는 환자가 반드시 비호흡을 하여야 폐를 통해 흡수가 되므로 구호흡을 하는 경우는 정맥로를 이용한 진정이나 기관내삽관을 필요로 한다. 저자는 $N_2O-O_2$를 이용한 진정요법을 시행하는 중에 완전한 구호흡을 하는 환자를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끝 부분이 둥글고 유연한 흡인도관을 사용하여 아산화질소를 투여함으로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 한다.

There are some problems in inhalation sedation of non-cooperative pediatric patients. Usually the pediatric patients reject the nasal hood and there's no cooperation for administration of nitrous oxide gas. In mouth breathing patient, other technics of sedation such as intravenous or oral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were recommended. Common causes of mouth breathing are common cold, allergic rhinitis, sinus problem, anatomical disorder, and habitual mouth-breathing. However in some patient not indicated the general anesthesia and high failure rate in oral and intravenous sedation. Administration of $N_2O-O_2$ with suction catheter was applied in full mouth breathing patient. Clinically effective sedation were occurred during procedure about 45 to 55 minutes. There's no any side effects by $N_2O-O_2$ inhalation sedation. The patients awoke at the end of the procedure and received 100% oxygen for 2-3 minutes. There's still some problems in use of the suction catheter such as air pollution of operation theater and elevate arterial carbon dioxide tens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