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ufacturing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Leathers Using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제조와 그 특성

  • Kang, Min-Yo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Young-M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Eun, Jong-B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Fruit leathers were manufactured from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and evaluated for their physical,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TDF) in Japanese apricot leathers(JAL) and Japanese apricot pomace leathers(JAPL) were 4.06% and 7.82%, respectively. One hundred grams of leather contained 368kcal in JAL and 352kcal in JAPL. Water activities of fruit leathers were 0.36 in JAL and 0.48 in JAPL. None of the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microbiological counts of any of the organism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fruit leathers were higher in those made of JAF than those made of JAP. The fruit leathers made of JAF were harder than those made of JAP. Sensory panelists preferred fruit leathers made of JAP to those made of JAF in all attributes, except for their color.

매실과육과 그 가공부산물인 매실착즙박을 대상으로 하여 과채류 가공품의 하나인 fruit leather를 제조한 후 그 성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매실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주원료로 제조된 fruit leather는 각각 엷은 황갈색과 진한 황갈색을 나타내고 유연성을 갖는 leathery sheet형태의 성상을 보였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는 총 식이섬유 4.06%로 분석되었고, 매실착즙박을 이용하여 제조한 fruit leather의 총 식이섬유는 7.82%로 조사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열량은 각각 386 kcal와 352 kcal로 분석되었다. 이들의 수분활성도(Aw)는 각각 0.36, 0.48로써 미생물적으로 안정함을 보였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L, a, b 값들이 더 높았고 color 측정항목에 대한 관능검사결과에서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fruit leather의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각 항목마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물리적 특성들이 높은 값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1). Fruit leather의 관능검사결과 texture 항목 중 chewiness와 stickiness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1), color의 경우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으나 flavour 및 전체적인 맛은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다. 색소를 이용하여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색깔을 향상시킨다면 훌륭한 스낵제품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