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 활용(活用)에 대(對)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f Soyangin Yangkyuksanwhatang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체질의학교실) ;
  • 김지용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최재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체질의학교실)
  • Park, Seong-sik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Ji-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oi, Jae-young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발행 : 1998.12.31

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소양인(少陽人) 신정방(新定方)의 하나인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의 효능(效能)과 활용(活用)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를 통해 사상체질병증(四象體質病證)의 이해(理解)와 방제(方劑)의 운용(運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방법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1년간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체질의학클리닉에 내원(來院)한 환자들 중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이 20첩 이상 투여되고 경과관찰(經過觀察)이 가능했던 65명(남자 40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이 투여된 환자의 특성, 치료효과, 부작용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3. 결과 소양인(少陽人)의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은 남녀 구별 없이 모든 연령층에서 사용되었으며, 대상환자들의 주소증은 흉민(胸悶), 수족병(手足病), 운동장애(運動障碍), 구건(口乾), 상열감(上熱感) 등 37종류였다. 치료효과의 분포는 호전이 58.5%, 우수가 12.3%, 별무변화가 29.3%였으며 악화는 없었다. 전신상태(全身狀態)의 특징으로는 설태(舌苔)가 백태(白苔) 또는 황태(黃苔)를 띄거나 간출이상(刊出異常)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처방(處方)을 활용할 때는 처방의 변경없이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만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병증(病症)에 따라 약물을 증량(增量)하거나 가미(加味)하여 사용하였다.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의 치료효과(治療效果)에는 약물의 가감유무(加減有無)가 영향을 미쳤으며, 효과발현시간(效果發顯時間)은 연령이 젊을수록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으로는 심계(心悸), 복통(腹痛) 및 소화불량(消化不良) 등이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 We intended to be helpful to understand constitutional symptoms of a disease and an application of the prescription through a clinical study of Soyangin Yangkyuksanwhatang. Methods : We studied 65 patients(40 men and 25 women) treated with Soyangin Yangkyuksanwhatang in constitutional clinic of Dongguk Pundang Oriental Hospital. And then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angkyuksanwhatang treated patients, remedial values, onset of action and side effects. Results: Soyangin Yangkyuksanwhatang was used in all age groups both men and women. There were 37 kinds of chief complaints including chest discomfort, numbness of hands and feet, motor disturbance and skin disease etc. The distributions of remedial values were slightly improved(58.5%), much improved(12.3%), no improved(29.3%) and there was no aggravated patient. Using the prescription, mostly I prescribed only Soyangin Yangkyuksanwhatang without any changing, and added some herbs to the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a disease. Soyangin Yangkyuksanwhatang was affected in remedial values by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herbs. The onset of action in young age group was shorter than old age group. Side effects were palpitation, abdominal pain and indigestion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