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adiographic Measurement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Condition on Premolars and Molars

소구치 및 대구치의 치주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Lim, Hyun-Sook (Department of Periodod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
  • Choi, Seong-Ho (Department of Periodod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
  • Cho, Kyoo-Sung (Department of Periodod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
  • Chai, Jung-Kiu (Department of Periodod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
  • Kim, Chong-Kwan (Department of Periodod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 임현숙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 재생 연구소) ;
  • 최성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 재생 연구소) ;
  • 조규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 재생 연구소) ;
  • 채중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 재생 연구소) ;
  • 김종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 재생 연구소)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치주상태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치주탐침과 같은 임상적 검사와 보조적으로 방사선 검사를 이용한다. 방사선학적인 검사가 치주조직의 파괴정도와 골 흡수를 진단하는데 유용하지만 실제적인 골 흡수를 정확하게 나타나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임상적 측정과 방사선 사진을 비교연구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방사선이 임상에서 참고사항으로는 중요하지만 절대적 신뢰를 주는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왔다. 방사선학적 측정과 임상지수 측정간의 상관관계에대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 대학병원 치주과를 내원한환자중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전신질환이 없는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소구치의 원.근심부, 대구치의 원.중.근심부에서 치주낭의 깊이와 (P.D), 부착상실 (A.L)을 측정하였다. 방사선 사진상의 원.근심부에서 백악 법랑질 경계부에서 치조골능 상부까지의 치조골 수준 (Rx.B.L)을 측정하였고 이개부 부위에서는 이개부의 천정으로부터 나타나는 골 흡수의 방사선 투과상을 측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간에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근심부의 P.D와 Rx.B.L을 비교 했을 때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r=0.897$\sim$r=0.725, p<0.01). 2. 원·근심부의 A.L와 Rx.B.L을 비교 했을 때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r=0.915$\sim$r=0.732, p<0.01 ). 3. 대구치 769개가 실험 대상인었다. 상악 대구치중(356개) 40%가 이개부 병소를 나타냈고 (146개), 하악 대구치중(413개) 41%가 이개부 병소를 나타냈다(170개). 4. 대구치의 이개부 병소의 중앙부에서 측정한 P.D와 Rx.B.L을 비교 하였을 때 상관관계는 상악 제1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 났다(r=0.811$\sim$r=0.435, p<0.01). 5. 대구치의 이개부 병소의 중앙부에서 측정한 A.L와 Rx.B.L을 비교 하였을 때 상관관계는 상악 제1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높게 나타 났다(r=0.906$\sim$r=0.479,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상지수와 방사선학적 측정을 비교한 바, 이들의 상관관계는 모든 치아에서 밀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학적 측정은 임상지수와 더불어 치주질환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