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Border Area of The U.S. and Mexico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산업화 과정

  • 김학훈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the United States-Mexico Borderlands and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Mexico and examines their impact on the borderlands. Main factor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borderlands was the U.S. investment on the maquiladora program of Mexico since 1965. I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and population of borderlands and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Low wage level of Mexico induced not only standardized labor-intensive industries but also the high-tech automated industries because they still use a lot of labor in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while the functions of management. R & D, and distribution remained in the U.S. This is a typical case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satellite industrial district. The rules of origin in NAFTA, however forced branch Plants of multinational companies to form the local linkages between firms.

본 연구는 미국과 멕시코의 경제적 상호관계를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산업화 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역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산업화는 멕시코지 마낄라도라에 대한 미국의 투자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그에 따라 양국의 국경지대에서는 고용확대, 인구증가, 서비스산업의 발달이 이루어 졌다. 세계의 다국적 기업들은 표준화된 노동집약적 산업뿐만 아니라 첨단시설의 자동화 생산방식의 산업까지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멕시코에 진출하였으며, 반면에 미국에는 관리, 연구개발 및 시장분배기능을 가진 기업들이 배치됨으로서 양국간의 공간적 분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멕시코 국경지대는 다국적 기업의 단순조립 공장들이 주로 입지한 위성산업지구이지만, 고용의 확대로 주민들의 경제적 지위가 향상되었으며 멕시코 경제 전반에 걸친 파급효과도 크다. NAFTA의 원산지 규정은 국경지대 기업간의 국지적인 연계에도 영향을 미쳐서 다국적기업의 분공장들은 부품 협력업체들과 동반진출을 추진하면서 부품공급의 현지화에 노력을 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