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식생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Naesorak District of Soraksan National Park

  • 권태호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김보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1998.03.01

초록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의 6개 주요 등산로에 대해 이용강도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 환경훼손상태를 조사하였다. 총 29.2km, 132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등산로물매 등에서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손유형의 출현빈도는 암석노출, 뿌리노출, 종식, 분기 등의 순으로 이들 훼손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각 등산로에서의 건전지점들은 훼손지점들에 비해 대체로 표고가 낮은 곳에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등산로 훼손에 미치는 이용영향은 외설악 지구 등산로에 비해 훨씬 적었다. 주연부 상층식생의 우점종은 등산로별로 달랐으며 하층식생은 계곡부에서는 조록싸리, 생각나무, 사면부에서는 철쭉꽃이 우점종이었다. 종다양도 및 주연부 하층식생의 피도는 이용강도가 낮은 오세암등산로에서 가장 높았으며, 등산로간 하층식생의 종구성은 대체로 이질적이었다.

Six trails of Naesorak(west Sorak) district of Soraksan National Park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edterioration of trail according to the different amount of use. The entire width, and slope of trail as the trail condition surveyed at the total of 132 points were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 amount of use.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rock-exposure, root-exposure, deepening and divergence in order of frequency. Deteriorated poi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ail conditions from non-deteriorated points, and these latter generally appeared at the lowed altituede than the former on each trail. Naesorak district still seemed to have poorer use-impacts than Oesarak(east sorak) district. The dominant species in upper layer of trail edge vegetation differed from trail to trail, but in shrub layer Lespedeza maximowiczii, lindera obutsiloba for valley trail and Rhododendron schlipenbavhii for slope trail. The species diversity and coverage of shrub layer in trail edge were the highest on the Ose'am trail and each trail was dis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of shrub layer of edge veget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