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흡충 현증감염 특이항원

A Clonorchis sinensis-specific antigen that detects active human clonorchiasis

  • 김석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발행 : 1998.03.01

초록

인체 간흡충증의 현증감염 시기에 생산된 특이 IgG 항체와 반응하는 간촘충 특이항원을 규명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 및 서로 다른 조건에서 회수한 4가지 분비배설항원 (CsE)의 항원성을 면역이적법 소견으로 비교하였다 CsE2의 30. 7 kDa 항원이 간흡충 환자혈청과 강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 항원들은 프라지콴텔 완치 후 6개월 혈청과는 반응하지 않았으나 투약 후 간흡충 충란이 검출된 환자의 치료 후 혈청과는 반응하여 현증감염의 면역반응과 관련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30 Ka항원은 폐흡충 요코가와흉충 감염혈청과 교차반응하였고. 7 kDa 항원은 반응하지 않았다. 또. 30 kDa 항원은 일부 간흡충 과거 감염자 혈청과 반응하였으나 7 kDa 항원은 반응하지 않아 7 님)a 항원의 특이도가 높았다 간흡충 유행지역에서 7 kDa 항원의 민감도를 파악한 바 간흡충 현증감염자 25명 중 23명 (92%) 간홉충 요코가와흡충 중복감염자 11명 중 10명 (91%)과 반응하였다. 반면 간흡충 과거감염자 15명 중 6명 (40%), 요코가와흡충 감염자 7명 중 3명 (43%)과 반응하였다. 따라서. CsE2의 7 kDa 항원은 인체 간흡충 현증감염의 표식자가 되는 간흡충 특이 항원으로 판단된다.

A Czonorchis sinensis-specific antigen in excretory-secretory product of C. sinensis (CsE) was assessed in human clonorchiasis by immunoblot. Thirty and 7 kDa antigens of CsE2, one of four different batches of CsEs reacted strongly with infection sera from clonorchiasis patients; however, the antigens reacted weakly with 6-month post- treatment sera from praziquantel-cured cases, but were still highly detected by the sera from praziquantel∼failed patients, indicating that the 30 and 7 kDa antigens can detect antibodies during an active infection. The 30 kDa antigen showed some cross reactions with sera from patients with Pcragonimus westemani and Metcfonimw vokogcujci, while the 7 kDa antigen did not, suggesting that the 7 kDa antigen has high specificity. The 30 kDa antigen reacted with some past clonorchiasis sera, whereas the 7 kDa antigen did not, supporting that antibodies to the 7 kDa antigen are not present in sera from past clonorchiasis patients. In an endemic area, 92% (23/25) of active clonorchiasis patients and 91% (10/11) of mixed infection patients with C. sinensis and M. Wokosawai had IgG antibodies to the 7 kDa antigen, while 40% (6/15) of past clonorchiasis individuals and 43% (3/7) of metagonimiasis patients cross-reacted to the antige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7 kDa antigen in an excretory-secretory antigen may serve as a marker of an active clonorchiasis with reliable specificities in past clonorchiasis, paragonimiasis and metagonimia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