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음악치료 사례연구 - 자폐아 치료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TRENDS OF BRITISH MUSIC THERAPY & TWO CASE STUDIES OF AUTISTIC CHILDREN

  • Kim, Jin-Ah (Addison House Pre-School Assessment Centre and Aspen Unit)
  • 발행 : 1997.06.30

초록

영국에서는 현재 음악치료가 자폐아 치료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고, 그 치료의 효과 또한 의학계와 교육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 글은 영국 음악치료의 주 동향이라 할 수 있는 즉흥연주를 바탕으로한 정신역동적 음악치료법(Psychodynamically Informed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이 자폐증에 효과적 치료법임을 두 개의 사례연구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두 개의 사례연구는 매순간 개개인에 알맞게 응용되는 즉흥연주를 바탕으로한 음악치료의 과정이 어떻게 자폐아와 치료자간의 치료 관계를 형성시키고 발전시키는가를 보여준다. 첫번째 사례 Charlie를 통해서는 음악이 비언어적, 언어적 의사 소통과 초기 놀이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다. 두번째 사례에서는, 음악치료라는 환경이 어떻게 Mark에게 안전한 자기표현과 의사 소통의 장을 열어 주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인식의 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겠다. 음악치료의 임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의 사례는 발달적, 음악역동적, 정신역동적인 시점에서 고찰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rrent trends of British Music Therapy and its effectiveness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autistic children.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Part one will provide a general picture of music therapy by looking at its fundamental concepts and therories. Part II(two case studies) will illustrate the actual processes of music therapy which can engender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autistic child. Through the first case study of Charlie, a 3 year and 9 month non-verbal autistic boy, we shall see how music therapy facilitates both non-verbal and verbal communication and a form of pretend play. The second case of Mark, a 10 year old autistic boy with complex emotional, behavioural and learning difficulties who had been sexually abused in the past, presents how the therapist’ acceptance of the child’ being and the shared experience of music therapy enable the child to express his difficulties and to develop the awareness of self and others. By exploring both musical and interpersonal aspects of music therapy, this gives an in depth examination of therapeutic processes. In order to clarify clinical procedure, this paper is viewed in musical, developmental and psychodynamic perspectives. To ensure confidentiality, the clients will be referred to by alter-native forenam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