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천식발작시 혈장 및 요중 Endothelin 농도 변동

Changes in Plasma and Urine Endothelin Levels During Acute Exacerbation of Asthma

  • 장중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신태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우가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김종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홍은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서기열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차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김영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 조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과학연구소)
  • Chang, Ju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Tae-R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Woo, Ga-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Jo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Eun-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Seo, Gi-Y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a, Joo-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Mi-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Yeu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Young-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1997.08.31

초록

연구배경 : 최근의 기관지천식 병인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천식 발작중에 폐장에서 과도하게 유리된 endothelin(ET)이 기관지 수축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펩티드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급성발작의 경과에 따른 혈장 몇 요중치의 변동 및 상호 연관성을 관찰함에 있다. 방 법 : 연구대상은 16명의 급성 천식악화로 입원한 환자에서 내원당일과 치료 2주후의 2회의 혈장 및 24시간 요를 채취하였다. 정상대조군은 신체건강한 성인 10명으로 정하였다. 모든 천식환자는 입원당시 부신피질호르몬제, 베타-2 교감신경작동제, 아미노필린 제제를 투약받았다. ET은 방사면역측정법에 외해 측정되었으며 교차반응성에 있어 ET-1과는 100%, ET-2와 67%, ET-3와 84%, Big-ET과 8% 이었다. 결 과 : 혈장 ET은 천식환자의 및대조군의 수치와 비교하여 천식악화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요중 ET은 천식악화시 및 치료후에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정상대조군에 비해서는 둘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혈중 및 요중 ET치는 폐기능 및 저산소혈증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천식의 급성악화시에 증가한 혈장의 ET은 폐장에서의 ET 유리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천식발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요중 ET의 배설이 증가하여 있었으나 치료 2주후까지는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천식발작시의 요중 ET의 변동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좀더 긴 관찰기간 및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Recent studies have documented increased release of endothelin(ET) during acute attack of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link between plasma level and urinary excretion of each and changes during acute exacerbation. Method : Plasma and 24 hour urine were collected from sixteen asthmatics during acute exacerbation, twice ; first day of symptomatic exacerbation and two weeks after treatment. Controls were ten healthy normal subject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rticosteroid and beta-2 adrenergic agonist on admission. ET was determined by radioimmmunoassay and had 100% cross reactivity with ET-1, 67% with ET-2, 84% with ET-3, and 8% with Big-ET. Results : Plasma E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during acute attack of asthma compared with those in remission and controls.,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urine ET concentrations or total ET amounts in 24 hour urine during exacerbation upto two weeks. Those levels of urine ET in asthmatics were still higher than controls. ET concentrations in plasma or urine were not correlated with pulmonary functional parameters and hypoxemia.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s that increased plasma ETs are related with exaggerated release during acute asthma. Urinary ET excretion is increased in asthma. However, urine ET changes during exacerbation should be observed in a larger and longer scal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이화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