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 역류에 관한 연구

Gastro-esophageal Reflux in Asthmatic Patients

  • 서정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광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소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재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경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Suh, Jung-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In, Kw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o-R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ang-Yeu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 Jae-Yo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m, Jae-J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ang, Ky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oo, Se-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발행 : 1997.08.31

초록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과 위식도 역류는 성인에서 호발하는 질병으로, 위식도 역류가 기관지 천식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두질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 정확한 동반 빈도와 발병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서양에서는 천식환자의 약 50~60%에서 위식도 역류가 동반되고, 위식도 역류의 치료시 천식증상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역류의 유병률과 위식도 역류 치료와 천식증상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방 법 : ATS(American Thoracic Society) 기준에 따라 진단된 기관지 천식환자 42명과 기관지 천식의 기왕력이 2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24시간 보행 식도 pH 검사를 실시하여 DeMeester scoring system을 기준으로 하여, 7개의 지표중 1개라도 pH 4 이하의 % time이 정상 95 percentile 보다 증가된 경우 비정상적인 위식도 역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위식도 역류가 동반된 천식환자에게 위장관 운동 촉진제인 cisapride를 8주간 투여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천식 환자군중 11명(26.2%)에서 위식도 역류가 관찰되었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앙와위 및 전체 시간 %가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위식도 관찰되는 11명중 4명에게 cisapride를 8주간 투여후 실시한 검사상 천식증상 지수의 감소, $FEV_1$과 PEFR 증가, 24시간 보행 식도 pH검사상 혼합점수의 감소등 천식증상 및 위식도 역류가 개선되었다. 결 론 :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 역류의 유병률은 26.2%로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고 특히 앙와위시 역류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위장관 운동촉진제를 복용시 천식 증상 및 폐기능이 약간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Background : The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GER) in patients with asthma is estimated to be 50~60% and treatment of GER has been shown to improve asthma symptoms in Western. But GER has been known to be less common in Eastern and GER prevalence rates in asthmatics are not available in Korea. Method : We compared the prevalence rate of GER in 42 patients with asthma to that in 20 healthy normal controls and examed the efficacy of new prokinetic drug, cisapride(40mg/day, 8weeks) in patients with GER and asthma. For acid GER to be considered pathological, 24 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should reveal values exceeding upper limit of 95 percentile for at least one of 6 parameter of DeMesseter's table. Result : The results showed GER wa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asthma(11/42, 26.2%) than normal controls(3/20, 15%) and asthmatics group showed a significant longer supine time pH<4(%) and total time pH<4(%), and more reflux episodes a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After 4 asthmatics with GER were treated with cisapride, their asthma symtom scores, FEV1 and composite scores of pH monitoring were improved. Conclusion : GER is more common in asthmatics than in normal controls in Korea and prepulsid reduces asthma symptoms in patients with GER and asthm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