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terms of "The Jung pung(中風) therories of JuJinHyoung(朱震亨)"

주진형(朱震亨)의 중풍론(中風論)에 관한 고찰(考察)

  • Ko, Kyeong-Deok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al, Dongguk University) ;
  • Lee, Dong-Wo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al, Dongguk University) ;
  • Jung, Seung-Hy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al, Dongguk University) ;
  • Shin, Gil-Ch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al, Dongguk University) ;
  • Lee, Won-Chul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al, Dongguk University)
  • 고경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동원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승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길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8.30

Abstract

We inquired into tile origins, pathologies, theraphies and prescriptions of Jungpung(中風) especially on the ground of Keokchiyeron(格致餘論) Dangeosimbub(丹溪心法) written by JuJinHyoung(朱震亨) as medical books, from this study we could get that conclusions. 1. According to special feature of the theroies of JuJinHyoung's(朱震亨) Jungpung(中風) he thought pathologies of Jungpung(中風) as "sub seong dam dam seong yeol yeol seong pung 濕生痰痰生熱 熱生風" through studying stress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ought much of dam(痰) as one of major elements of internal causes. 2. He suggested chi-dam(治痰) in the first place in the treatment of Jungpung(中風) and emphasises the treatment using Succus Pyllostachyos(竹瀝), waterly extracted Rhizoma Zingiberis(薑汁) in that they had the virtues of sodam-ganghwa(消痰降火), geo-gyeongrak(開經絡), haeng-heolgi(行血氣) 3. He treated differently whether a man in fat and thin, and have right or left hemiplegia, but he prescribed herb-medications on the principle that that medications should have the virtues of chi-dam(治淡).

주진형(朱震亨)은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중 가장 후대의 인물로서 주자학(朱子學)의 철학적 배경에 근거하여 유하간(劉河間), 장자화(張子和), 이고의 장점을 흡수하여 의론(醫論)을 펼쳤으므로,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을 인식하는데 있어 그 의미가 크다. 주진형(朱震亨) 중풍론(中風論)의 특징은 그가 거처한 지역적(地域的) 특성(特性)에 근거하여 비수인(肥瘦人)과 반신부수(半身不遂)의 좌우(左右)에 따라 각각 치법(治法)을 달리하였으나, 중풍(中風) 병인병리(病因病理)를 습담생열(濕痰生熱)로 보고 내인(內因)의 주요소로 담(痰)을 중시하여 중풍입방약물(中風入方藥物)은 치담(治痰)한다는 원칙에 기준하여 약물(藥物)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독특한 중풍론(中風論)은 후대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는 중풍(中風) 내인론(內因論) 측면에서 한의학발전(韓醫學發展)에 기여(寄與)할 것으로 사려(思慮)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