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on Abdominal Skim of Mouse by DNCB Sensitization

DNCB에 의한 생쥐 복강피부의 지연형 과민반응에 관한 연구

  • Kim, Jin-Taek (Departmen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Park, In-Sick (Departmen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Ahn, Sang-Hyun (Departmen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김진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박인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안상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1997.08.30

Abstract

Abdominal skin tissues of ICR mouse painted with Dinitrochlorobenzene (DNCB)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of skin by chemical allergen as hapten. The abdominal skin tissues were obtained at hour 48 after secondary DNCB sensitization that were stained by Luna's method for mast cel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method for IL-2 receptor. The superficial perivascular lymphocytic aggregation were shown in basement membrane after DNCB secondary painting and the large size capillaries in dermis were appeared.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 to epithelium, the vacuolation of epithelial cell and intercellular space were increased. The number of mast cell in dermis was increased and these shape is degranulation type. The number of IL-2 receptor positive cell was increased in dermis.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persensitivy of immune system were induced by DNCB, subsequently to damage evoke inflammation in skin.

특정 외부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피부에서의 지연형 면역과민반응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기위해서 시행된 본 실험은 DNCB에 의해 인위적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의 일반적인 형태, 비만세포의 변화, IL-2 receptor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DNCB 2차감작 후 실시된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결과 대조군에 비해 DNCB 처리군에서는 ear swelling이 점점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게 측정 되었다. 피부 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도 DNCB접종 후 48시간에서 가장 심한 피부손상의 양상을 보였는데, 진피에서 림프구 aggregation의 증가, 혈관직경의 증가, 표피로의 림프구 infiltration 증가가 일어났다. Semithin section을 통해 관찰된 DNCB처리군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표피세포질내 액포화의 증가와 세포사이공간의 확장이었다. 진피에서 비만세포 수가 증가되었으며, 그 형태는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degranulated type으로 나타났다. 피부 진피에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수가 증가되었으며, 표피로 infltration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가 48시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DNCB 감작에 의해 세포성면역과민반응이 일어나며, 이후 면역관여세포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급격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