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1-{\alpha}(OH)D_3$ on Steroid Induced Bone Loss in Frequently Relapsing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빈회재발형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에 미치는 $1-{\alpha}(OH)D3$의 효과

  • Cho Byoung-So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eog-Y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병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덕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Steroid induced bone loss is a serious problem in frequently relapsing nephrotic syndrome especially in growing children.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1-(OH)D_3$ (IL Sung Pharma.Co.) is effective in preventing steroid induced bone loss, we gave $0.5{\mu}g$ of $1-(OH)D_3$ for one year to forty patients with frequently relapsing nephrotic syndrome, receiving longterm prednisolone therapy (mean duration $50.12{\pm}29.40$ months). We checked the following markers before and after $1-(OH)D_3$ therapy. i.e. bone mineral density(BM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t the 2nd to 4th lumbar spine, serum calcium, phosphorus, parathyroid hormone(PTH), osteocalcin and urine pyridinoline(U-PYD). BMD($g/cm^2$) was increased even steroid therapy from $0.71{\pm}0.0\;to\;0.73{\pm}0.0$ (p<0.05). Lumbar spine BMD is a sensitive marker for evaluating steroid induced bone loss in children receiving longterm corticosteroid therapy and that $1-(OH)D_3$ appears to be effective in treating and preventing steroid induced bone loss.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은 특히 성장하는 소아 신증후군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경우에 활성형 비타민 D원알파, 일성신약)를 1년간 투여하고 그 효과를 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골대사 지표를 치료 전후에 검사하여 보았다. 대상 환자는 40명의 빈회재발형 신증후군 환아이며, 본 연구를 시작하기전까지 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기간은 $50{\pm}29$ 개월 이었다. 성인에서 골형성지표로서 잘알려진 혈청 osteocalcin(ng/ml)은 치료전 $7.75{\pm}3.34$, 치료후 $9.38{\pm}5.06$으로 증가 되었고, 골 흡수 지표로 장 알려진 소변 pyridinoline(nmol/mmol Cr)은 치료전 $417.26{\pm}250.98$, 치료후 $462.59{\pm}265.15$로 증가되어 소아 에서 골대사 지표로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골밀도는 $0.71{\pm}0.016$에서 $0.73{\pm}0.015$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때 활성형 비타민의 투여로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골 형성 및 골 흡수의 지표로서 성인에서 많이 쓰이는 검사법은 소아의 경우는 예민하지 않았으며, 골밀도 검사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