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on OO Gas Station

국내토양오염 유발시설별 오염현황 조사 I -OO인근주유소 오염현황조사-

  • 김무훈 (삼성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contaminant transfer and environmental impacts to the surroundings by inadequate control of USTs. Several methodologies can be used in sampling procedure for the site assessment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contaminants on the site and their types. In this case study because of site contaminants, randomized and/or triangle matrix techniques were used. As a result,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in OO gas station were appeared in several status. From 1 to 2.5m depth, the soil was composed of silty sand and gravel, around 4m depth, weathered rock was appeared. Based on the preliminary and actual site investigation by DPT methodologies 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site with analysis of BTEX and TPH, no contamination was found in OO gas station, however, in one point because of careless dumping after refill by oil company, about 1731. 5 ppm of TPH appeared.

본 조사의 목적은 적절한 조사방법이 미흡한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 조사방법 및 그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오염물질이전 및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Site assessment 방법에는 몇가지의 접근방법이 있는데, 본 OO 주유소 오염현황조사에서는 임의격자법/삼각매트릭스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주유소에서의 물질성상은 몇 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지층구조는 약 2.5M까지는 매립토(잡석 & 모래)로 충진하였으며, 2.5-4M 까지는 부드러운 모래와 미사토(Silty Sand)의 자연적인 토양층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4.0M 가까이에는 풍화토(C층)가 출현하였다(그림3. 지층구조측면도 참조).저장탱크지역의 지하수위는 약 2.0M이며 남쪽에 흐르고 있는 개천의 수위와 거의 일정하게 유 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조사에서는 실제 UST나 배관 주위에서의 누출에 의한 실제오염은 찾아낼 수 없었지만, 기름을 충진한 후 버려지는 슬러지들이 부분적인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 현황조사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