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EXTRACTION VS. NON-EXTRACTION GROUPS OF CLASS I MALOCCLUSION

  • 유형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백형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발행 : 1997.10.01

초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cdot$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상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 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 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 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71 Class I malocclusion samp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premolar-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Vertical and horizontal cephalometric evaluations on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reatment. Also, treatment results in adolescent patients and adult patient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all the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ith exception of SN-MP angle, upper lip to E-line, vertical movement of upper first molar, md horizont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olescen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and mesial movements of upper first molar. 3.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ul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from I-line and vertical reference line, vertical height of upper first molar, and mesi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N-MP angl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both adolescent and adult sampl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