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rmation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Chon-hwang-san(Mt.) Talus

천황산 Talus의 형성과 지형발달

  • Jeon, Young-Gw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 전영권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alus in Chon-hwang-san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then analyze its geomorphic feature and origin.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alus is 220m long and the range of the width from 10 to 75m. The mean gradient is $33^{\circ}$ and the mean block size is $110{\times}59cm$(long axis$\times$short axi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talus is tongue-shaped and the geology of the constituent blocks is dacite. (2) This talus has two particular geomorphic landscapes. One is that the talus has not free face as source of blocks back of itself; the free face of the talus has been parallel retreated to disappearance by frost attack. The other is that the upper part of the talus is on the ridge. (3) This talus is classified into rock fall talus type, and the shape of rock fragments is angular. Wh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face of being mentioned above, the morphology and lithology of the talus are best explained on the basis of origin under periglacial environment during late pleistocene time. (4) Most constituent rock debris are now lichen-covered, or covered with a mantle of weathering. There is no evidence of appreciable movement and for supplying block. Therefore, the talus appears to be relict or fossil form stage, currently.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밀양군에 위치하는 천황산 talus에 대한 수 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그것의 지형적 특성과 성인을 분석하여 보았으며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의 talus는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talus와는 상이한 지형적 경관을 보여준다. 둘째, 암설의 입경과 talus의 규모 그리고 사면경사는 비교적 큰 편에 해당된다. 셋째, talus 형성의 전제 조건인 금애면은 완전히 평행후퇴하여 지금은 소멸되었다. 넷째, 연구지역의 talus는 지난 빙기의 주빙하적 기후환경하에서 생성된 각력의 암설들이 rock fall 상태로 금애면 아래에 집적되어 형성되었다. 다섯째, 급애면의 완전소멸로 현재는 더 이상 암설의 추가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암설의 이동성도 인정되지 않아 지형발달단계상 화석지형화 단계로 파악된다. 결국 이러한 지형적 경관의 특이성은 본 지형의 형성프로세서와 지형적 발달단계를 설명하는데 중요하며, talus의 유형 분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