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透明) 프라스틱 필름 피복(被覆)에 따른 참깨의 실증발산량(實蒸發散量) 변화(變化)

Actual Evapotranspiration of Sesame Crop Cultured With and Without Transparent Plastic Film Mulch

  • 발행 : 1996.03.3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무저(無底) lysimeter내에서 참깨의 멀칭재배에 따른 물소모량변화를 산출하고자 농업기술연구소 토양 물리과 관개시험포장(灌槪試驗圃場)에서 1991년과 1992년에 중부지방(中部地方)의 표준파종기(標準播種期)인 5월(月) 10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참깨품종 "안산깨"를 시험재배(試驗栽培)하였다. 토양(土壤)은 배수(排水)가 다소 양호(良好)한 본량(本良) 사양토(砂壤土)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물소모량(消耗量)은 $ETa=(R+I)-\{Ro+(D1+D2)\}+C{\pm}{\Delta}S$의 모형식(模型式)에 의해 각 parameter의 변화를 계측하고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作成)하여 산출(算出)하였다. 2. 각(各) parameter의 계측(計測)에 있어서는 강양량(降兩量)(R), 지표수(地表水) 유거량(流去量)(Ro근권심(根圈深)의 변화(變化)(Z(t)), 근권(根圈) 물보유량(保有量)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Delta}S$)를 실측(實測)하고 배수량(排水量)(D), 모관토승량(毛管土昇量)(C) 등(等)의 구성요인(構成要因)을 산출(算出)하였다. 3. 참깨의 생육진전(生育進展)에 따른 근권심도(根圈深度)의 변화(變化)는 2개년간(個年間) 근권변화(根圈變化)를 조사(調査)하고, 그 성적(成績)을 Borg식(式) $Z(t)=(Zf-Zi){\times}[0.5+0.5\;SIN\{3.03(t/T)-1.47)\}+A$의 사용(使用) 가능성(可能性)을 제시(提示)하였다. 4. 참깨를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파종적기(播種適期)인 5월(月) 10일(日)에 파종(播種)할 경우 참깨의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중의 실증발산량(實蒸發散量)(ETa)은 멀칭하지 않은 경우 1991년도(年度)에는 139.0mm(일당(日當) 1.53mm)이었고. 1992년(年)에는 171.2mm(일당(日當) 1.59mm)로 각각(各各) 잠재증발산량(潛在蒸發散量)(ETp)의 54% 및 59%이었다. 5 同一한 조건(條件)에서 Plastic film(두께 0.03mm)으로 멀칭을 한 경우 실증발산량(實蒸發散量)은 1991년도(年度)에는 132.6mm(일당(日當) 1.46mm)이었고. 1992년도에는 199.8mm(일당(日當) 1.85mm)로 각각(各各) 잠재증발산량(潛在蒸發散量)의 52% 및 69%이었다.

Determining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ETa) of a crop, and appropriate water management of the crop based on the ETa are very important For increasing the yield. The present study aimed at determining ETa and crop coefficient of sesame growing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with the transparent thin polyethylene film mulch(0.03 mm thick) and without this mulch. Bottomless cylindrical lysimeters(105cm in diameter, 120cm in height, protruded 20 cm above the soil surface) were installed on the field of sandy loam "Bonyang series" soil with a moderate drainage. The determination of ETa was performed by measuring each component of a model equation, $ETa=(R+I)-\{Ro+(D1+D2)\}+C{\pm}{\Delta}S$. Sesame, cv. "Ansan" was sown in two rows with the spacing of $50{\times}15cm$ on May 10 in 1991 and 1992. The mulching covers 80% of the soil surface. Sesame consumed the water of 139.0 mm(1.53 mm/day) and 171.2 mm(1.59 mm/day) in ETa without the film mulch, but that of 132.6 mm(1.46 mm/day) and 199.8 mm(1.85 mm/day) with its mulching through both years of 1991 and 1992, respectively. The ETa's accounted for 52 and 69% of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ETp) in the mulched crop, and 54 and 59% of ETp in the non-mulched crop 1991 through 1992, respectively. Its ETa's were much more and their gap between the mulching and non-mulching treatment was larger in 1992 than in 1991 as a result of the better climatic condition of 199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