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國立公園) 개발(開發)에 따른 경관영향평가(景觀影響平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 덕유산(德裕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of National Park Develop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Park Mountain Dukyu -

  • Kim, Sei-Cheon (College of Agr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5.10.30
  • 발행 : 1996.06.30

초록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대표적인 산악형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의 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전과 개발후로 나누어 S.D Scale 측정에 의한 공간의 이미지 구조를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밝히며,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의 선호도 결정요인 추출과 각 요인 상호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차원, 공간적차원, 친근감차원, 자연성차원, 호감성차원, 물리적차원 등 6개의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인들은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인자수 제어방법에 의하여 전체변량은 45.46%와 45.45%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개발에 따른 경관관리를 위한 계량적 접근의 기능적차원에 반영되어야 할 주요 척도적 요소라고 생각된다. 각 지점별 공간 이미지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변수가 달라지며 동일지점에서도 공간이미지의 주된 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변인의 차이에 의하여 선호도 결정 요인의 차이가 인정된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national park development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included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ukyu National Park. For this, spatial images structure of physical elements have been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lgorithm and degree of visual quality have been measured mainly by questionnaires.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the Dukyu National Park landscape have been found to be the overall synthetic evaluation spatial, appeal, natural quality and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overall the synthetic evaluation, spatial and appear yield high factor scores. Thus, these factor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site spatial image of Dukyu Korean-National Park. By using the control method for the number of factors, Total variance explained by the factors has been obtained as 45.46% and 45.45%. Principal variables of main factors explained above may be the scaling containing the functional criteria of quantitative approach for landscap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development. According to difference of special image from each place, for these variables that decided the visual quality can be differed, and even the same place due to landscape control point change the visual quality can be affected affirmat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recognized by the landscape control poi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