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환경훼손

  • 권태호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이준우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5 major trails of Odaesan National Park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trail accreding to the different amunt of use. Th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as the trail comdition surveyed at the total of 120 poi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more heavily-used trail.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root-exposure, rock-exposure, deepening and divergence in order of frquency and trail conditions of deteriorated poi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n-deteriorated points. The damaged area more severe than Class 4 on trail reached about 379m$^{2}$/km in total, and especcially about 1,196m$^{2}$/km in the section between Chodmyolbogung and Pirobong of Sangwonsa trail. The dominant trees of trail edge vegetation could be Quercus mongolica in upper layer, but in lower layer Rhododecdron schilipenbachii for slope and Actinidia arguta for ridge. Coverage and number of individuals of lower vegetation in trail edge were the lowest on the Sangwonsa trail of the largest use amount, and each trail was dis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of lower layer of edge vegetation.

오대산 국립공원의 5개 주요 등산로에 대해 이용강도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 환경훼손상태를 조사하였다. 총 22km, 120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침식깊이 및 등산로물매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선유형의 출혈빈도는 뿌리노출, 암석노출, 종침식, 분기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변의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인 나지의 변적은 전체 379m/km이며, 상원사 등산로가 1,196m$^{2}$/km로서 가장 많이 발생되어 있었다. 주연부 상층식생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였고, 하층식생은 사면에서 철쭉꽃, 능선부에서 다래가 우점종이었다. 주연부 하층식생의 피도 및 개체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상원사 등산로에서 가장 낮았으며, 등산로간의 하층식생의 종구성은 대체로 이질적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