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ing Visitors' Behavior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이용객 행태조사

  • 김용근 (동신대학교 자연대 환경조경학과) ;
  • 최성식 (동신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조중현 (동신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Visitors to O-Daesan National Park were surveyed from July 28 to 31 in 1995. During that time, 392 visitors were contacted. Of those individuals, 52% were males and 48% of females. 68%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gone as far as college. 50% were 20 years of age. the larg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were reported that they visited O-daesan Nat'l Park for enjoying natural landscape. In group type, 40% were traveling with their family and 36% with their friends. In activity characteristics, 38% were 1 day-2nights visitors and 37% were day-time visitors. 45% did cooking and 21% were mentioned carrying in their own food. Generally most respondents were perceived tha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ost respondents were not likely to intervene to stop other visitors' depreciative behavior(Bystander intervention behavior). And their perceived broadcasting for guidance of use i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조사는 1995년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자체 개발한 설문지로 현장에서 실시하여 총 392명의 이용객이 참여하였다. 이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남자가 52%, 여자 48%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68%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방문목적은 자연경관 감상의 목적이 가장 높았으며, 동반자 특성으로는 40%의 응답자가 가족과 함께, 그리고 36%는 친구와 함께 방문하였다. 응답자의 38%가 1박2일, 37%가 당일체재 이용객이었고, 응답자의 45%가 취사를 하였으며, 21%가 도시락을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오대산 국립공원의 환경오염이 이용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쓰레기 불법 투기는 무의식적으로 버린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는 남이 하는 환경훼손행위에 대해 직접 나서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이용에 대한 안내 방송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