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위 무연탄의 처리에 관한 연구

Beneficiation of Low Grade Anthracites

  • 발행 : 1996.06.01

초록

국내산 무연탄의 경우 약 0.3∼7% 정도의 황을 포함하고 있어 연소시 대기오염은 물론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SOx 및 NOx 등을 배출한다. 환경오염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화력발전소의 SOx 방출 허용기준치는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500ppm이지만 1999년에는 270ppm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구배 자선기를 이용하여 습식 자력선탄과 오일 응집에 의한 탈황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자력선별법에서는 입도의 크기, matrix 종류, 광액의 농도, 급광속도, 정선횟수 그리고 탄종변화 등을 실험한 결과 최적 실험조건에서 강릉지역산 시료의 석탄회수율은 82.1%, 황분제거율은 60.8%이었다. 오일 응집 시험에서는 pH변화, 응집제의 종류 및 첨가량, 광액의 농도, 정산 그리고 탄화도 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마로산시료의 석탄회수율 98.0%이었으며, 회 및 황의 제거율은 각각 70.9%와 95.7%이었다.

Domestic coal contains approximnlely 03 to 7 percentage of sulfur. When the suliur in coal is burned, exhaust gas , nay be thc causc of air pollution problcms as well as acid rain. Thc government dccideil lo strengthen the environmcnlal protection policy a1 the 270 ppm of SO, for the coal-Ered plants and to stari in Ian. 1, 1999. This study was carried out lo rcmove the stlfur and mineral mancrs in the samplw using wet msg~xiic separatol ant1 oil agglomeration apparatus. The rcsults for the wet magnetic separalion showed that the total sulfur removal from Kangnung coal sample was 60.8% with 82.6% combustible recovery. For the results of oil agglomeration testa, combustible recavety, ash nod sulfur rcmovcl horn Maro coal sample were 98.0, 70.9 and 95.7 percent,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