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Model for Vitamin C Requirement Study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사료내 비타민 C 요구량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Bai Sungchul C.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sity of Pusan) ;
  • Lee Kyeong-Ju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sity of Pusan) ;
  • Jang Hye-Kyung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sity of Pusan)
  • 배성철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 이경준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 장혜경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6.05.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xperimental model and a semipurified diet for vitamin C requirement study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Prior to the start of the feeding trial, fish were fed the control diet for four weeks to deplete their body reserves of vitamin C, Then fish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given one of the laboratory developed semipurified diets supplementing either 0 (control), 25, 50, 75, 150, o. 1500 mg L-ascorhic acid (AA)/kg diet for eight weeks. Fish fed control diet had lower hematocrit than did fish from groups fed the other diets (P<0.05). Also these fish had significantly lower percent weight gain (WG),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muscle AA than did fish fed diets containing 150 and 1500 mg AA/kg diet (P<0.05). Diet analysis of vitamin C showed that the control diet had 39,7 mg AA/kg diet. Therefore, these finging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model and the semipurified diet can be useful for vitamin C requirement study, and the dietary vitamin C requirement is greater than 40 mg AA/kg diet, but 150 mg AA/kg diet is adequate for the maximum growth in juvenile Korean rockfish.

본 실험은 조피볼락의 비타민 C 요구량 설정을 위한 실험모델과 실험사료를 개발하고 각 조직 내의 비타민 C 축적량에 따른 영양특성 그리고 그에 따른 요구량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어는 실험시작 평균체중이 12.6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6개 실험구로 나누어 3반복으로 비타민 C 첨가 농도를 달리한 6개의 반정제 실험사료를 공급하였다. 4주간의 예비사육 (대조구사료 공급)후 8주간의 사육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6가지 실험사료의 비타민 C 농도는 다음과 같다 ; 0 (대조구), 25, 50, 75, 150 and 1500 mg L-ascorbic acid/kg diet ($C_0,\;C_{25},\;C_{50},\;C_{75},\;C_{150},\;and\;C_{1500}$). 증중율과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사료를 공급한 실험구가 $C_{150}$$C_{1500}$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Hematocrit은 대조구사료를 공급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근육 조직내의 비타민 C 농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아서 $C_{150}$$C_{1500}$ 실험구와 유의차를 보였고, 고농도 첨가구인 $C_{1500}$ 실험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들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간, 아가미, 뇌조직의 비타민 C 농도는 $C_{1500}$ 실험구만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을뿐(P<0.05), 다른 실험구들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따라서 조직내의 농도로는 근육에서 4.8 mg AA/kg 이하이면 성장, 사료효율, hematocrit에서의 결핍증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료내 비타민 C 요구량은 40 mg AA/kg diet 이상이고, 150 mg AA/kg diet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