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ing to Quitting in the Small Industries in Incheon

인천지역 일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이직요인(離職要因)

  • 안연순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
  • 노재훈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
  • 김규상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보건연구원)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1993 to 1994 in the small industries in Inche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in order to estimate the quitting rate, to identify its relating factors and to propose effective quitting management policy in the small indus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quitting rate of 266 study workers was 42.1%(112 workers). 2. Age, working duration, position, mar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quitting group and the non - quitting group. In the quitting group, mean age was young, working duration was short, general employees and unmarried workers were many compared with the non - quitting group. 3. In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total assets, total assets, sales per person, establishment duration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ly statu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quitting group and the non - quitting group. In the quitting group, total assets, total sales and sales per person were little, establishment duration of company was short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tatus were poor compared with the non - quitting group. 4. In the quitting group, worker's response to employer's disposal about health and safety was more passive and the relation to employer with employee was significantly poor compared with the non - quitting group. 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quitting against family income per person, working duration, relation to employer with employe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tatus in industry, worker's response to employer's disposal about health and safety and sales per person was done. Working durati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tatus, worker's response to employer'1 disposal about health and safety were significant explainatory variables for quitting.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quitting rate was high and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quitting group and non : quitting group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of industries. Especially, it suggested that working durati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tatus and worker's response to employer's disposal about health and safety were significant quitting factor. Therefore,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quitting management and the policy of steady employment.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이직률을 조사하고 이직자군과 비이직자군의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및 사업장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이직과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근로자들의 이직률은 266명 중 112명으로 42.1%였다. 2. 이직자군과 비이직자군 근로자들의 평균연령, 근속기간, 직위, 결혼상태가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직자군이 연령이 낮고, 근속기간이 짧으며, 평사원이 많고, 미혼이 많았다. 3. 사업장 총자본, 사업장 총매출액,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사업장 설립기간, 사업장 보건 및 안전관리 실태 등 사업장 특성이 이직자군과 비이직자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직자군이 소속된 사업장이 총자본과 총매출액이 적고, 근로자 1인당 매출액도 적으며, 사업장 설립기간이 짧고, 사업장 보건 및 안전관리 실태가 좋지 않았다. 4. 사업주의 산업보건 및 안전에 관한 조치에 대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사업주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수록 이직이 많았는데 이직자군과 비이직자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가구원 1인당 수입, 근속기간, 사업주와의 관계, 사업장 보건 및 안전관리 실태, 사업주의 보건 및 안전조치에 대한 근로자들의 반응, 근로자 1인당 매출액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직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속기간이 짧고, 사업장 보건 및 안전관리 실태가 좋지 못하고, 사업주의 보건 및 안전조치에 대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이직을 많이 하였다. 이상 소규모사업장 근로자들의 이직률 및 이직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규모사업장근로자들의 이직률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고, 이직자군과 비이직자군 사이에 몇 가지 특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업장 보건 및 안전관리실태, 사업주의 보건 및 안전조치에 대한 근로자들의 반응과 같은 산업보건학적 요인이 유의한 이직요인으로 향후 소규모사업장 근로자들의 이직관리와 고용안정책에 반영되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