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of Body Fat Percent with Serum Lipid Level and Blood Pressure in Adults

Impedance Fat Meter로 측정한 체지방 비율과 혈청 지질치 및 혈압과의 관련성

  • Lee, Seock-W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wang, Tae-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석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황태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body fat percent with serum lipid level and blood pressure in adults. The study subjects were 472 men and 189 women who visited Multiphasic Health Screening Center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in Taegu from May 20 to September 30, 1994. The relationship of serum lipid and blood pressure with BMI, Katsura index, atherogenic index, which calculated from the health screening data and body fat percent measured by impedance fat meter(model SIF-819) were analyzed.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as Group I (men : body fat Percent $\geq$ 20, women : body fat percent $\geq$ 25), Group II (men : 15 $\leq$ body fat percent< 20, women : 20 $\leq$ body fat percent< 25), Group III(men : body fat percent < 15, women body fat percent <20). In this study, Group I accounted for 3.2% in men, 3.7% in women. Weigh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n both sexes(p<0.01) and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n men,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low density lipoprotein,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1). In wome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riglycerid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among three groups. BMI and Katsura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in both sexes(p<0.01). In men, body fat perc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BMI, Katsura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atherogenic index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gh density lipoprotein. In women, body fat perc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height, weight, BMI, Katsura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and atherogenic index,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gh density lipoprote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percent and blood pressure in wome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otal cholesterol, fat percent, age and BMI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in men$(p<0.05,\;R^2=0.1286)$, and body fat percent and age in women$(p<0.05,\;R^2=0.3399)$. In case of LDL/HDL ratio, only BMI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in menu$(p<0.01,\;R^2=0.0954)$, and body fat percent, age and BMI in women$(p<0.05,\;R^2=0.3164)$.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low density lipoprotein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on systolic blood pressure in men$(p<0.05,\;R^2=0.1297)$, age and total cholesterol in women$(p<0.05,\;R^2=0.1705)$. On diastolic blood pressure, only age was a significantly independent variable in men$(p<0.01,\;R^2=0.0972)$ and women$(p<0.01,\;R^2=0.1218)$.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concluded that body fat perc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ther obesity indices and serum lipid, but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lood pressur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body fat percent with blood pressure, further study which consider other variables that may have an effect on blood pressure should be performed.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에서 1994년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종합건강진단을 받은 성인 661명(남 472명, 여 18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장, 체중, 혈청지질치(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혈압과 impedance를 측정하였고, 이들 측정치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Katsura 지수, 동맥경화지수, 저밀도 지단백, 체지방 비율을 산출하여 체지방 비율과 혈청 지질치 및 혈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체지방 비율에 따른 분포는 남자의 경우 체지방 비율이 20% 이상인 제1군이 15명(3.2%), 여자의 경우 25% 이상인 제 1군이 7명 (3.7%)으로 나타났다. 체중은 남자와 여자에서 체지방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신장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치, 중성지방치,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저단백, 동맥경화지수가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여자에서는 총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중성지방치, 고밀도 지단백은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와 Katsura 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체지방 비율이 남자에서는 체중, 체질량지수, Katsura 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동맥경화지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밀도 지단백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자에서는 체지방 비율이 나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Katsura 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동맥경화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밀도 지단백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혈압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인 총 콜레스테롤과 LDL/HDL비를 종속변수로 하고 나이, 체질량지수, 체지방 비율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자에서는 체지방 비율, 나이, 체질량지수 모두가 총 콜레스테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왔으며$(R^2=0.1286)$, 여자에서는 체지방 비율과 나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R^2=0.3399)$. LDL/HDL비의 경우는 남자에서 체질량지수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R^2=0.0954)$, 여자에서는 체지방 비율, 나이, 체질량지수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R^2=0.3164)$.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 분석에서는 남자에서는 수축기 혈압에 나이, 저밀도 지단백,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R^2=0.1297)$, 확장기 혈압에는 나이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R^2=0.0972)$. 여자에서는 수측기 혈압에 나이와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R^2=0.1705)$, 확장기 혈압에는 나이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R^2=0.1218)$. 이상의 결과에서 체지방 비율은 비만이나 혈청 지질치는 잘 반영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혈압을 반영하는데는 미흡한 점이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체지방 비율과 혈청 지질치 및 혈압과의 관련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혈압에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고려한 추가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