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prevalence and behaviour of Aedes togoi

토고숲모기(Aecles togoi)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습성에 대하여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Ecological studies of Aedes togoi, the vector of malayan filariasis, were ci,wind out at Tolsando, Yosu and Sokcho area in 1991. The adult population of Aedes togoi was continuously appeared from the first week of April to the end of November showing the highest density in .truly. The larvae of Aedes togoi were found at rock pools from March to December in Sokcho area and the density was highest in July and August, wherea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Yosu), the larvae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and the density was the highest in Tune. The rate of larvae inhabited below 0.5% salinity was 45.7% in Sokcho and 51.7% in Yosu. The feeding activity of Aedes togoi was nocturnal, with the peak period of 01 :00-03:00 hours. Indoor feeding activities were slightly higher than outdoors showing the biting ratio of 1 :0.8 (indoor: outdoor). The average number of Aedes togoi attracted to CO2 gas was 8.5 whereas 117 Anophelei sinensis was attracted. The result indicates that CO2 is not an effective attractant for host seeking of Aedes togoi compared to Anopheles sineteis. The most common place was bedroom with 54.5% of total collections and next to stock place (18.2%), floor(9.1%) and kitchen (9.1%).

1991년 1월부터 12월까지 여수의 돌산도 및 속초 지역을 중심으로 말레이사상충증 매개종인 토고숲모기의 발생밀도 및 흡혈, 휴식습성을 조사하였다. 여수지역에서 조사한 성충의 계절적 발생 소장을 보면 4월 첫주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11월말까지 계속 발생하였으며 7월에 171개체가 채집되어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다. 유충의 발생 밀도를 보면 속초는 3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하였으며 7월(1068.0개체)과 8월(1093.2개체)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여수지역은 1월부터 12 월까지 계속 발생하였으며 6월에는 932개체가 채집되어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고 동절기(12월, 1월, 2월)에는 번데기가 발견되지 않아 번데기로는 월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두 지역에서 각각 전체 유충수의 45.7%와 51.7%가 0.5% 이하의 낮은 열도에서 서식하였다. 성충의 흡혈 활동이 활발한 시간은 01.00-03.00시였으며 장소는 옥내 대 옥외 비가 1:0.8로 옥내 흡혈비율이 약간 높았다. $CO_2$에 유인 효과는 중국얼룩날개모기가 117개체가 유인된 것에 비해 토고숲모기는 8.5개체가 유인되어 $CO_2$에 유인성이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주간에 옥내 휴식하는 모기는 침실이 가장 많은 54.5%로 주휴식처였으며 헛간이 18 2% 마루와 부엌이 각각 9.1%가 채집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