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Dietary Self-selection by Egg-type Growing Pullets

난용계(卵用鷄) 육성기(育成期)의 선택채식(選擇採食)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K.H. (College of Animal Agriculture,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
  • Lee, D.S.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RDA)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A dietary self-selection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feeding systems of egg-type growing pullets. Corn diet, soybean meal diet, wheat bran diet and soybean meal+fish meal diet were individually prepared for self-selection regime and 380 day-old chicks of a brown egg strain were offered either a control grower diet(C) or one of the 3 self-selection regime consisted of corn-soybean meal diet ($T_1$), corn-soybean meal-wheat bran diet($T_2$) and corn-soybean meal+fishmeal-wheat bran diet($T_3$) during 20 weeks of the growing period. Compared with pullets fed control diet(C), those fed the self-selection diets($T_1$, $T_2$ and $T_3$) were smaller in body weight at 20 weeks of age by 12% and consumed less energy and protein by 11% and 9%, respectively. Calculated metabolizable energy levels of feed consumed during the growing period were about 3,200 kcal/kg in $T_1$ and 2,300 kcal/kg in $T_2$ and $T_3$ and dietary protein levels were about 12~13% in all self-selection diets ($T_1$, $T_2$ and $T_3$) regardless of pullet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onventional feeding system of egg-type growing pullet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control the body weight effectively and to reduce the cost of grower feed.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난용계(卵用鷄) 육성기(育成期) 사료비(飼料費)를 절감(節減)할 수 있는 새로운 사양체계(飼養體系)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각종 선택채식방법(選擇採食方法)에 의해 육성기의 사료(飼料) 및 영양소(營養素) 섭취(攝取) 형태(形態)를 조사하였다. 선택 채식시험을 위하여 옥수수사료, 대두박사료, 밀기울사료 그리고 대두박+어분사료를 각각 만든 후 배합사료(配合飼料)를 급여하는 대조구(對照區)(C)와 옥수수-대두박사료 선택채식구($T_1$), 옥수수-대두박-밀기울사료 선택채식구($T_2$), 옥수수-대두박+어분-밀기울사료 선택채식구($T_3$)등 4개 처리에 유색난용계(有色卵用鷄) 초생추(初生雛) 380수를 공시(供試)하여 육성기간(育成期間)(0~20주령) 동안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의 육성기간중 평균체중(平均體重)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억제(抑制)되었으며 특히 성장초기에 현저히 억제(抑制)되어 대조구(對照區) 체중(體重)(100%) 대비 6주령에 70%, 14주령에 81%, 20주령에 88%로 억제(抑制)되었다. 2. 육성기간(育成期間)중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은 대조구(對照區)(100%)에 비해 $T_1$은 86%로 적었으나 선택채식사료(選擇採食飼料) 중에 밀기울이 포함된 $T_2$(106%)와 $T_3$(112%)는 대조구(對照區)보다 오히려 많았다. 3.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의 육성기간(育成期間)중 에너지와 단백질(蛋白質) 섭취량(攝取量)은 선택채식방법(選擇採食方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각각 11%와 9% 정도 적었다. 4. 육성기간중 섭취(攝取)된 사료(飼料)의 대사에너지 수준(水準)은 모든 처리에서 성장기별(成長期別) 차이(差異)는 없었으며 대조구(對照區)(C)가 2,900 kcal/kg인데 비해 옥수수-대두박사료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인 $T_1$은 3,200 kcal/kg정도로 매우 높았으며 선택채식사료중에 밀기울이 포함된 $T_2$$T_3$는 2,300 kcal/kg내외로 극히 낮았다. 한편 섭취된 사료의 단백질수준(蛋白質水準)은 대조구(對照區)가 2~6주령에 18%, 6~14주령에 15%, 14~20주령에 12%였는데 비해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 ($T_1$, $T_2$$T_3$)은 모두 선택채식(選擇採食) 방법(方法)이나 성장기에 관계없이 12~13%정도로 매우 낮았다. 결론적(結論的)으로 난용계(卵用鷄) 육성기(育成期)에는 육성기(育成期) 체중(體重)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조절(調節)하고 사료비(飼料費)를 절감(節減)할 수 있는 사료체계(飼料體系)의 근본적인 개선(改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