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Dietary Self-selection by Egg-type Layers

난용계(卵用鷄) 산란기(産卵期)의 선택채식(選擇採食)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K.H. (College of Animal Agriculture,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
  • Lee, D.S.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RDA)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In order to get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feeding systems of egg-type layers, a dietary self-selection study was conducted. Corn diet, soybean meal diet, wheat bran diet, soybean meal+fish meal diet, and limestone diet were individually prepared for self-selection regime. Forty brown layers were offered either a control laying diet (C) or one of the 3 self-selection regime consisted of corn-soybean meal-limestone diet ($T_1$), corn-soybean meal-wheat bran-limestone diet ($T_2$) and corn-soybean meal+fish meal-wheat bran-limestone diet ($T_3$) for one wk each at 31 wk and 41 wk of age. In all dietary treatments, most of the eggs were laid from 0700 h 1300 h and hens consumed more feed, energy and protein on egg forming days than on non-forming days. On egg forming days, hens fed self-selection regime consumed less energy and protein than those fed control diet. On egg forming days, the consumption of feed, energy and protein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000 h 2200 h in the control diet group but they decreased during the last 3 hours from 1900 h to 2200 h in self-selection regime groups. Up to 1600 h, calcium intake of the self-selection regime groups were much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after that time, they increased markedly and were much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actical self-selection regime for layers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daily cyclic requirement for nutrients without consuming an excess energy and protein at certain times of the day.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난용계(卵用鷄) 산란기(産卵期)의 self-selection diets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각종 선택채식(選擇採食) 방법(方法)에 의해 산란기의 사료(飼料) 및 영양소(營養素) 섭취형태(攝取形態)를 조사하였다. 선택채식시험을 위하여 옥수수사료, 대두박사료, 밀기울사료, 대두박+어분사료 그리고 석회석사료를 각각 만든 후 단일배합사료(單一配合飼料)를 급여(給與)하는 대조구(對照區)(C)와 옥수수-대두박-석회석사료(飼料) 선택채식구($T_1$), 옥수수-대두박-밀기울-석회석사료(飼料) 선택채식구($T_2$), 옥수수-대두박+어분-밀기울-석회석사료(飼料) 선택채식구($T_3$)등 4개처리에 유색산란계(有色産卵鷄)를 처리당 10수씩 총 40수를 공시(供試)하여 31주령과 41주령에 2회에 걸쳐 각 1주일간의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처리별 산란률(産卵率)은 73.02~79.83%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1일중 시간대별(時間帶別) 산란분포(産卵分布)는 처리간에 큰 경향의 차이없이 07-13시의 오전시간에 대부분의 산란되었다. 2. 각 처리 공히 계란형성일(鷄卵形成日)에는 비형성일(非形成日)에 비해 사료(飼料) 및 영양소(營養素) 섭취량(攝取量)이 많았으며, 계란형성일에는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이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에너지와 단백질(蛋白質) 섭취량(攝取量)이 적었다. 3. 계란형성일의 시간대별 사료(飼料)와 에너지 및 단백질섭취량(蛋白質攝取量)은 대조구(對照區)가 10시 이후부터 22시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은 10시 이후부터 22시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들은 10시 이후부터 증가하다가 19~22시의 마지막 3시간 동안의 섭취량(攝取量)이 감소하였다. 4. 계란 형성일의 시간대별 칼슘섭취량(攝取量)은 대조구(對照區)가 10시 이후부터 22시까지 계속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선택채식구(選擇採食區)은 16시 이전까지는 대조구(對照區)보다 훨씬 적었으나 16시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대조구(對照區)보다 훨씬 많이 섭취(攝取)하였다. 결론적으로 난용계(卵用鷄) 산란기에는 영양소요구량(營養素要求量)의 주기적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복수선택채식사료(複數選擇採食飼料)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