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Segmental Scoring of $^{99m}Tc$-MIBI Myocardial SPECT

$^{99m}Tc$-MIBI 심근 SPECT의 분절 육안 분석시 판독자간의 일치도

  • Yeo, Jeong-Seok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Dong-So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Kyung-Ha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Jong-H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on, Kyung-So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 Sung-Wook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wark, Cheol-Eu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ung, June-Ke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Myung-Chu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eo, Jeong-D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oh, Chang-Soo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여정석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동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경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종호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손경수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
  • 조성욱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
  • 곽철은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정준기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명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서종돈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
  • 고창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Published : 1994.11.30

Abstract

The accuracy of dipyridamole stress/rest $^{99m}Tc$-MIBI myocardial imaging for detection of ischemia depends on reproducible image interpretation.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visual assessment, agreement in interpretation among two independent observers, blind-ed to clinical data, was evaluated in SPECT images of 131 patients (94 males, 38 females; mean age $58{\pm}7yr$) with suspected coronary artery disease who underwent both dipyridamole stress/rest $^{99m}Tc$-MIBI myocardial SPECT and coronary angiography. The left ventricle was divided into twenty-nine segments in stress and rest SPECT images and each segment was visually graded according to a five-point scale (segmental score : 0=normal, 1=equivocal, 2=mild decrease, 3=severe decrease and 4=absent uptake). Overall concordance of segmental scoring between the two observers was 80%.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the segmental scores for stress and rest images were 0.67 and 0.65, respectively, while the difference in score between the two images showed a correlation of 0.45 (all p<0.001). Agreement between two observers in final SPECT diagnosis as absence or presence of disease was 93%. The degree of agreement in segmental scor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agreement as to the presence of disease. Therefore it appeared that cases with inconcordant diagnosis between the 2 observers were mainly due to a difference in individual threshold for interpretating the significance of a particular decreased uptake area rather than to a difference in perceiving the degree of the hypoactivity Thus, establishment of individual optimum thresholds in visual interpretation of myocardial SPECT may be helpful to improve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scan diagnosis.

디피리다몰 부하/휴식 $^{99m}Tc$-MIBI 심근 SPECT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진단과 심근분절별 혈류등급의 재현성을 조사하여 판독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SPECT 판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디피리다몰 부하/휴식 $^{99m}Tc$-MIBI 심근 SPECT와 심혈관 조영술을 2개월이내에 동시에 시행한 환자 131명에서 환자의 임상정보를 모르는 두 명의 판독자가 독립적으로 스캔을 판독하였다. 1) 심혈관조영소견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체환자 131명에 대한 두명의 판독자의 SPECT진단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70%, 73%와 58%, 54%였고 정확도는 67%, 70%로 판독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래에서 SPECT 검사를 의뢰한 환자와 SPECT를 먼저 시행하고 관동맥조영술을 나중에 시행한 환자에서에서 두 판독자의 스캔진단 정확도가 입원 상태에서 SPECT를 실시한 환자와 관동맥조영술을 먼저 시행한 환자의 경우에서보다 진단정확도가 높았다. 2) 스캔판독시 두명의 판독자간의 심혈관질환의 유무에 대한 최종 스캔진단의 일치도는 93%였으며 각영역별로 구한 일치도는 89%였다. 3) 두 판독자가 29개 심근분절의 혈류에 대해서 부여한 점수는 80%에서 일치하였으며 분절점수간의 상관계수는 0.67이었다. 스캔판독이 일치하였던 경우와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의 분절심근점수의 일치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스캔판독의 차이가 혈류저하의 정도에 대한 평가의 차이이기보다는 영역별 혈류저하정도에 대하여 유의성여부를 판별하는 주관적 기준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였다. 이상에서 심근 SPECT의 육안평가시 분절별 혈류저하 정도에 대한 평가는 판독자간에 높은 재현성을 보이며 심혈관질환의 유무에 대한 판정은 영역별로 유의한 혈류저하라고 생각하는 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의 기준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판독자별 기준의 차이가 진단에 대한 예민도 및 특이도에 영향을 주므로 분절분석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개인별로 적절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정확한 SPECT 평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