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synthesis and Regrowth of Leaf in Sorghum-Sudangrass Hybrid, Pearl Millet, and Barnyard Millet after 2nd Cutting

청예용 수수-수단 그라스 잡종, 진주조, 사료용 피의 후기 생육에서 재생엽의 생장과 광합성

  • 이호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태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3.10.01

Abstract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new and old leaf development and photosynthesis of sorghum-sudangrass hybrid 855F, pearl millet Suwon No.6 and barnyard millet in cutting and non-cutting plots from the 2nd cutting day(September, 17th). Leaf regrowth of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pearl millet begun after the 2nd cutting day, except barnyard millet. Photosynthetic rate of new leaf blades in cutting plots reached to higher level than old leaf at 12th to 20th day after cutting(DAC). Stomatal density of leaf blade of each crop in non-cutting plot was observed higher pearl millet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than barnyard millet. New leaf blade of each crop in cutting plot was showed complete development in stomata size, form and vascular bundles in 12th DAC. Non-structural carbohydrates(NSC) contents of stembase in sorghum-sudan hybrid which had 17 %, the highest among three forages decreased daily into 8th DAC and begun to increase from 20th DAC. But, those of pearl millet and barnyard millet in cutting plots were about 10 % at cutting day and inclined to decrease continuously into the 20th DAC and reached about 3~4% in 32nd DAC. These results showed that regrowth energy of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mainly dependent on non-structural carbohydrates of stembase until 12th DAC, but pearl millet had active lower leaves supported its regrowth by concurrent photosynthesis. As barnyard millet which did not reserve enough NSC, its regrowth fail to survive under low temperature. Also, late regrowth of rest two forage crops was delayed with decreasing daily temperature after mid-September.

하계청예작물인 수수-수단그라스 잡종 855F, 진주조 수원 6 호, 사료용 피 King millet 를 대상으로 제 2차 예취시기인 9월 17일부터 4일 간격으로 신생엽과 하부 잔존엽의 생장과 광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취일로부터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신생엽의 엽장, 엽폭, 엽면적, 경당 엽수, 엽건물중, 비엽중은 계속적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여 주었다. 피의 경우 이들과는 달리 하부잔존엽은 예취후 12일 이후로 모두 고사하여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예취후 20일이후 신생엽의 길이는 신장을 중단하였고 엽폭만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이상생육 형태를 나타냈다. 2. 예취후 일수 경과에 따른 광합성의 속도 변화는 예취구에서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피의 신생엽이 20일 이후부터는 기존엽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세 작물의 기공 밀도는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가 피 보다 높았으며 기공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엽육세포는 예취후 12일 이후에 완전한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 그루터기 기저부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수수-수단그라스의 경우 예취후 8일까지는 감소하였고, 20일 이후로는 증가하였으나 진주조 및 피는 예취 당일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이 10%내외로 극히 낮은 상태였고 예취후 20일까지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예취후 32일 경에는 3.0에서 4.0%수준에 이르렀다. 5.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의 신생염은 제 2차 예취후 12일 이후에 독립적인 생육이 이루어졌다. 이들이 재생특성은 수수-수단그라스는 에너지원으로서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진주조는 하부 잔존엽의 동화작용에 주로 의존하였고 피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빈약하였고 기온 강하에 민감히 반응하여 재생이 억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