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지 및 더덕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Ianceolata on the Lipid Components of Serum and Liver in Rats

  • 김소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한수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서인숙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호신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희숙 (진주전문대하 식품영양과) ;
  • 정승용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3.10.01

초록

도라지 및 더덕과 들깨유 및 홍화유의 혼합급여가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개선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Sprague-Dawley계 숫 흰쥐에게 cellulose 5%와 돈지 10%를 대조군으로 하고 도라지 및 더덕 5%씩, 그리고 들깨유 및 홍화유 10%씩을 혼합한 식이를 급여하여 3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질성분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2~6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2군(cholestyramine 2%+돈지 10%)과 6군(도라지 5% +홍화유 10%)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2군과 4군(도라지 5% +들깨유 10%)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2군이 57. 6%로 가장 높았다. 동맥경화지수는 2군, 4군 및 6군에서 낮았다. 혈청 LDL, 인지질 및 중성지질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특히 2군, 4군 및 6군에서 낮았다. 혈청 유리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2군이 가장 낮았다. 혈당농도는 2군이 가장 낮았고 3군(더덕 5%+들깨유 10%) 과 5군(더덕 5%+홍화유 10%)도 다소 낮았다. 간장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특히 2군과 3군에서 더욱 낮았으며, 인지질 함량은 2군에서 가장 낮았으나 군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 인지질 및 중성지질의 농도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도라지 5%와 들깨유 및 홍화유 10%씩의 혼합식이에 있어 지질 개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보다 높은 감수성 (LD$_{50}$(0.0056mg/l), LD$_{90}$ (0.0176mg/l))을 나타내었다.다.사선량을 정확히 측정함으로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어 therapeutic gain을 높이는데 밀도가 입력되는 CT planning에 크게 기여할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0%이상의 선량차이가 있을때 local control의 저하 가능성이 30%정도 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폐암치료에서의 밀도가 입력된 CT planning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6}$(중성지질), 지방조직은 인지질과 중성지질 모두 $C_{l6:0}$, $C_{l8:2}$, $C_{l8:1}$, $C_{18:2}$ 등이 주요 지방산으로 조직에 따라 약간씩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카테킨은 특히 혈청에서 $C_{20:5}$, $C_{22:6}$과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과산화된 지질의 섭취는 생체내 대사 이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인식되었고 카테킨의 투여는 신선한 어유를 섭취한 경우 뿐만 아니고 이미 과산화된 어유를 섭취한 경우 뿐만 아니고 이미 과산화된 어유를 섭취한 경우에도 생체내에서 과산화 억제작용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이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된다.다.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food habi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nvertebrates.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or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ianceolata, perilla oil and safflower oil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s in the serum and liver of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Experimental groups mixed with 5% cellulose+10% lard (group 1, control group), 2% cholestyramine+10% lard (group 2), 5% C. Ianceolata+10% perilla oil (group3). 5% P. grandiflorum+10% perilla oil(group 4), 5% C. ianceolata+10% safflower oil(group 5) and 5% P. grandiflorum+10% safflower oil (group 6)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 Dawley for 3 week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2~6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particularly, the lowest in the group 2 and 6.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were remarkably higher in the groups 2 and 4.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2. Atherosclerotic index was lower in the groups 2, 4 and 6. Concentrations of LDL,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in serum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particularly, lower in the groups 2, 4 and 6.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particularly, the lowest in the group 2. Concentrations of glucose in blood were the lowest in the group 2. And groups 3 and 5 were slgnificantly lower.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particularlyr the lowest in the groups 2 and 3. Phospholipid content was showed little differenre among groups but the lowest in the group 2. From the above research, the feeding 5% Platycodon grandiflorum+10% perilla oil and 5% Platycodon grandiflorum+10% safflower oil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compositions in serum and liv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