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지 및 더덕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Ianceolat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 김소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한수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성희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희숙 (진주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서인숙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승용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3.10.01

초록

도라지 및 더덕과 들깨유 및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식 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Dawley계 숫 흰쥐에게 cellulose 5%와 돈지 10%를 대조군으로 하고 도라지 및 더덕 5%씩, 그리고 들깨유 및 홍화유 10%씩을 혼합한 식이를 급여하여 3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지질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 PUFA중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가장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성분을 제외한 여타성분에서는 홍화유를 급여한 5, 6군에서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현저히 높았으며,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중 모두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 성분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 (EPA)의 함유비가 비교적 높았다. 이상의 결과,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는 linoleic acid의 비율이 가장 높아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Ianceolata, perilla oil and safflower oil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erum and liver of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Experimental groups mixed with 5% cellulose +10% lard (group 1, control group), 2% cholestyraemine +10% lard (group 2), 5% C. ianceolata+ 10% perilla oil (group 3), 5% P. grandiflorum+10% perilla oil (group 4), 5% C. ianceolata+10% safflower oil (group 5) and 5% P. grandiflorum+10% safflower oil (group 6)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 Dawley for 3 weeks. In the fatty arid compositions of serum total fatty arid, phospho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yl ester, the linoleic acid content was most in the PUFA and it was major fatty acid. Particularly, the other components except the phospholipid fraction in serum lipids were influenced b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from the fact that linoleic acid content was remarkably more in the groups 5 and 6. In the fatty arid compositions of liver total fatty acid, phospho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yl ester, the linoleic acid content was more in the PUFA and so it was major fatty acid. Particularly, the arachidonic and eicosapentaenoic acid contents of phospholipid fraction in liver lipids were rather more. from the above research, fatty ar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lipid components were influenced b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from the fact that linoleic acid takes up the highest percent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