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페이딩 채널에서의 CONCATENATED 코드 시스템

Concatenated Code System for Mobile Fading Channel

  • 발행 : 199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다경로 페이딩 현상이 나타나는 디지틀 이동통신 채널을 새로운 방법으로 모델링하여, 이에 적합한concatenated 코드를 구성한다. Concatenated 코드의 외부코드로는 BCH 코드를 사용하며, 내부 코드로는 콘볼루션 코드를 사용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외부 코드를 Reed Solomon 코드로 하는 다른 concatenated 코드에 비해 간단하고, 특히 외부 코드를 코드율이 높은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환경에 부적합한 과다한 부가비트들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이동통신 채널에서 concatenated 코드의 성능을 구하기 위해서, 다경로 페이딩 현상과 백색 가우시안잡음 현상이 존재하는 채널을 새로운 방식으로 모델링한다. 특히 페이딩율이 8 Hz와 12 Hz인 경우에 대해 이동통신 채널의 특성을 갖는 채널을 구성한다. 모델링된 페이딩 채널에 가장 적합한 concatenated 코드를 찾기 위해, (7,4),(63,45),(63,57),(31,26) 코드를 외부 코드로 선정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여 비교 실험 한다.

In this paper, a new digital mobile channel has been modeled. And concatenated code systems have been proposed to transmit information reliably in the newly modeled mobile fading channels. The BCH code has been used as the outer code and the convolutional code as the inner code. We have modeled the channels which have multipath fading phenomena and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s are identical to that of the mobile fading channel. To find the best code system, we have tested (7, 4), (63, 45), (63, 57) and (31.26) BCH codes as an outer code. Results show that the concatenated code with (7, 4) outer code gives the best performance. And if we use the soft decision, we can improve about 2 -6 dB in the SN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