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aluation of Detention Reservoir Safety using Equi-Flooding Line Theory

등위험도선이론(等危險度線理論)에 의한 유수지(遊水池) 안전도평가(安全度評價)

  • 최성열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심재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원환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92.03.18
  • Published : 1992.06.30

Abstract

Based on the equi-flooding line theory, this study suggests method of evaluating safety of detent tion reservoirs with drainage pumping facil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erives equi-flooding lines according to destruction frequency for each detention reservoir. In most part of detention reservoirs, its flood prevention are so much dependent upon drainage capacity that inland flooding prevention can be serious problems in case of its malfunction. In this study, the detention reservoirs which are below 5 year destruction frequency estimated as 29.3%, and below 10 year as 39.6% of the total. To improve reservoir safety, the detention reservoir capacities (including drainage and pumping capacity) should be upgraded above 20 year in its destruction frequency, and its reinforcement capacities are calculated.

본(本) 연구(硏究)는 등위험도선(等危險度線) 이론(理論)에 근거(根據)하여, 서울특별시(特別市)에 있는 배수(排水)펌프시설(施設)을 갖고 있는 유수지(遊水池)의 안전도(安全度)를 평가(評價)하는 방법(方法)을 제시(提示)하였고, 각(各) 유수지(遊水池)에서의 유수지(遊水池) 파괴빈도(破壞頻度)에 따른 등위험도선(等危險度線)을 유도(誘導)하였다. 대부분 유수지(遊水池)에서 유수지기능(遊水池機能)(배수기능(排水機能)+저류기능(貯留機能))이 배수기능(排水機能)에 너무 많이 의존(依存)하고 있어서 배수기능(排水機能)이 역할(役割)을 다하지 못할 경우에 내수침수피해(內水浸水被害)를 방지(防止)할 수 있는 대책(對策)이 미치(未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硏究結果) 파괴빈도(破壞頻度)가 5년(年) 미만(未滿)인 유수지(遊水池)가 전체(全體)의 29.3%, 10년(年) 미만(未滿)인 유수지(遊水池)가 39.6%로 추정(推定)되어서, 내수피해(內水被害)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수지(遊水池)의 파괴빈도(破壞頻度)를 최소(最小)한 20년(年) 이상으로 상향조정(上向調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해당빈도(該當頻度)에 대한 저류용량(貯留容量) 및 배수(排水)펌프의 보강(補强) 시설용량(施設容量)을 제시(提示)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