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만곡부(流路彎曲部)의 곡율비(曲率比)와 곡율계수(曲率係數)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urvature Ratio and Coefficient in Channel Bend

  • 정용태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 이진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송재우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투고 : 1990.11.09
  • 발행 : 1991.03.31

초록

운동량방정식을 이용한 하천만곡부 외측제방에 작용하는 단위면적당 수류력은 흐름의 특성, 토사의 특성 및 만곡부의 기하학적 인자의 함수인 곡률계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곡률비가 2.0~4.1인 경우에 외측제방에 작용하는 수류력이 가장크게 나타나는데 한강하류부의 경우 곡률비가 2.0~4.0에 집중된 것은 전구간에서 제방침식을 받게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 하천개수계획수립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철저한 호안공 등의 방법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곡률계수가 최대인 곡률비의 범위가 1963년의 경우 2.21~4.42이고 1981년에는 1.93~3.54이며, 인위적인 하천개 보수공사를 고려한 년간 평균유로이동률이 1967년까지 4.68m/yr이고 1981년까지는 10.48m/yr이다.

Based on the momentum equation for the flow in a stream bend, the force per unit area which the flow exerts on the outer of a bend is directly proportional to a certain curvature coefficient, $C{\alpha}$. This coefficient is dependent on the ratio of bend radius(R) to flow width(W), as well as on the coefficient of dynamic bedload friction, $tan{\alph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or the downstrream at the Han river, the range of R/w values is between 2.0 and 4.0. Exploring the variations of $C{\alpha}$ with R/w values a functional relationship which, for the known values of $tan{\alpha}$, shows maximum values of $C{\alpha}$ for R/w values between 2.21 and 4.42 in 1963, while in 1981 its values lied between 1.93 and 3.54.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