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Bittering, Acanthorhodeus(=Acheilognathus) gracilis (Cyprinidae), with a Note on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가시납지리의 난발생(卵發生)과 자어(仔魚)의 발육(發育) 및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

  • Suzuki, Nobuhiro (Hayama Fish. Res. Lab. Kajim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Jeon, Sang-Ri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Sang Myung Women's University)
  • 영목신양 (진도건설기술연구소 엽산수산연구소) ;
  • 전상린 (상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0.12.3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and minute scale-lik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of larval Acantlaorhodeus gracilis from Korea were observed. They spawned from late March through the middle of June. A fish spawned at least 5 times and the number of eggs averaged 304 per oviposition. Unfertilized eggs are nearly ovoid-shaped(mean$\pm$SD=$2.09{\pm}0.04\;mm$ in length with range of 2.05 to 2.13 mm and mean$\pm$SD=$1.26{\pm}0.02\;mm$ in breadth with range of 1.24 to 1.30 mm measured for the 50 eggs) and opaque yellow color. The tip of egg membrane at the animal pole side swelled and formed a few hilly projections. The shape of the eggs was just like a loquat. Most of embryos began to hatch out in thirty-eight hours after insemination at $22{\pm}1^{\circ}C$ in water temperature. As rega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eggs and larval development, Acan. gracilis was similar to Acan. asmussi, Acheilognathus rhombeus, A. longipinnis and Pseudoperilampus typus. The larvae of this species is unique particularly in the following two characters, i.e., 1) scale-like tubercles ellipsoided in a diagonal cross section on the whole body and 2) incessant wiggly movement pattern as that of fly maggot, with the larvae of the above mentioned species. These characters seem to reflect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acheilognathine fishes. On the other hand, this species and Acan. asmussi are spring-summer spawning bitterlings. And also these species never retard the larval growth in such larval stage as the duration from Stage B to Stage D.

전북(全北) 김제군(金堤郡) 죽산면(竹山面) 죽산리(竹山里) 죽산천(竹山川)서 채집(採集) 가시납지리친어(親魚)를 사육(飼育)하던 중 1989년(年) 4월(月) 11일(日)에 인공수정(人工受精)을 시켜 난발생(卵發生), 자어(仔魚)의 발육(發育) 및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는 동물극(動物極)쪽이 조금 뾰족하고 그 주위(周圍)에 둥그스럼한 3∼4개(個)의 돌기(突起)가 있으며 그 중심부(中心部)에 난문(卵門)이 있다. 난막(卵膜)은 얇으나 제리상(狀)인 점액물질(粘液物質)로 덮여 있어서 흐리고 반투명(半透明)이며 약(弱)한 점착성(粘着性)이 있다. 전장(全長) 89.40 mm인 자친어(雌親魚)로부터 배를 눌러 얻은 완숙란(完熟卵)의 크기는 $2.09{\pm}0.04{\times}1.26{\pm}0.02mm$로 한번에 평균(平均) 304립(粒)이 얻어졌다. 자어(仔魚)의 발육형태(發育形態)는 대체(大體)로 큰납지리와 유사(類似)했다. 즉(卽)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는 몸 전체(全體)의 표피상(表皮上)에 사면형돌기(斜面型突起)가 분포(分布)되었고 S자형(字型)으로 몸을 꿈틀거리는듯한 운동(運動)을 한다. 이러한 형질(形質)은 납지리, 큰납지리, Pseudoperilampus typus, Acheilognathus longipinnis등(等)과의 공유형질(共有形質)인 점(點)으로부터 이들 종(種)과 근연관계(近緣關係)에 있다고 추정(推定)된다. 또 위의 4 종중(種中) 큰납지리를 제외(除外)한 3 종(種)을 모두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인데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는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서 산란(産卵)을 한다. 따라서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의 개체발생(個體發生)이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의 개체발생(個體發生)과 유사(類似)한 점(點)이 많다는 사실(事實)은 추계산란형(秋季産卵型)의 출현(出現)을 고찰(考察)하는데 매우 중요(重要)하다고 생각된다.한편 본(本) 종(種)과 큰납지리는 배기기조수(背??條數) 차리외(差異外)에도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 차리(差異) 그리고 치어(稚魚)의 배기(背?)의 흑색(黑色) 반문(斑紋)이 큰납지리는 타원형(楕圓形)인데 본(本) 종(種)은 삼각형(三角形)인 점등(點等)의 형질(形質)로도 식별(識別)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