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實驗室)에서 사육(飼育)한 한국산(韓國産)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초기생활사(初期生活史)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Bitterling, Rhodeus uyekii(Cyprin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김용억 (부산수산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 한경호 (부산수산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Kim, Yong-U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an, Kyeong-Ho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0.12.30

초록

경남(慶南) 김해군(金海郡) 매리(梅里)에 위치(位置)한 하천(河川)에서 1987년(年) 4월(月), 반두로 각시붕어 성어(成魚)를 채포(採捕)한 후(後) 실험실(實驗室)의 수조(水槽)에서 사육(飼育) 중(中) 인공수정(人工受精)에 의한 난발생(卵發生) 과정(過程)과 부화자어(孵化仔魚)를 사육(飼育)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성숙란(成熟卵)은 난경(卵徑)이 $3.20{\sim}3.50{\times}1.50{\sim}1.80\;mm$로 난황(卵黃)을 담황색(淡黃色)으로 불투명(不透明)하고, 유구(油球)가 없는 분리침성란(分離沈性卵)이다. 2. 수온(水溫) $16.5{\sim}18.5^{\circ}C$에서 수정후(受精後) 48시간 30분만에 처음으로 부화(孵化)하기 시작(始作)한다. 3. 부화직후(孵化直後)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 4.10∼4.50 mm로 난황(卵黃) 전단부(前端部)의 등쪽을 향하는 한쌍의 돌기(突起)가 형성(形成)되어 있고, 근절(筋節)은 29∼30개(個)이다. 4. 부화후(孵化後) 9일(日)째의 전장(全長) 8.40 mm의 자어(仔魚)는 미부(尾部)의 척색말단(脊索末端)이 위로 굽어지기 시작(始作)하고, 항문(肛門)이 열린다. 5. 부화후(孵化後) 18일(日)째의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8.90 mm에 달(達)하고, 막(膜)지느러미 중(中)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부분(部分)이 융기한다. 6. 부화후(孵化後) 28일(日)째 전장(全長) 9.35 mm의 개체(個體)는 흑색소포(黑色素胞)가 증가하고, 두부(頭部),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위에서 새로 출현(出現)한다. 7. 부화후(孵化後) 50∼60일(日) 째의 전장(全長) 14.50∼16.20 mm 자어(仔魚)는 D.III, 9∼10 ; A.III, 9∼10 ; C.16∼17, P.9 ; V.6로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定數)에 달(達)하며, 등지느러미 위의 흑색소포(黑色素胞)가 성어(成魚)와 닮아 있다.

Parental fish of R. uyekii(Mori) were colleted from the Nakdong River, Korea. Artificial insemination was carried out 4 times during June using the same pair (a female 52.70 mm TL and a male 56.80 mm TL). Unfertilized eggs are nearly spindly, opaque yellow in colour, measuring about 3.20-3.50 mm in length, about 1.50-1.80 mm in breadth. Hatching began about 50 hours after insemination at water temperature of $16.5{\sim}18.5^{\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are 4.10-4.50 mm in total length(TL), with 29-30 myomeres. Nine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averaged 8.40 mm in total length and caudal notochord flexed at $45^{\circ}$. Eighteen days after hatching, total length reached 8.90 mm. The part of the fin-fold of the future dorsal and anal fins became high. Twenty-eight days after hatching, total length was 9.35 mm. The caudal fin-rays began to fork into two branches. The increased number of melanophores appeared newly on the head dorsal and anal fin-rays. The larvae reached the juvenile stage at 50-60 days after hatching and attained 14.50-16.20 mm in total length, and all fin-rays was form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