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뽕밭의 토양화학성

Several Soil Chemical Properties on Mulberry Fields in Kyunggi Province

  • 이원주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 발행 : 1990.03.01

초록

뽕밭 토양화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 2월 경기도의 29개 농가 60필지 뽕밭으로부터 표토를 채취하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양화학성의 평균치는 산도는 5.52, 유기물 함량 1.74%, 유효인산 572ppm, 치환성 칼리 0.62me/100g으로 1968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유기물함양만 제외하고는 모든 토양화학성이 높아졌으며, 특히 유효인산은 1968년 140ppm에 비해 4배나 증가하였다. 2. 인도교정이 요구되는 뽕밭은 92%나 되었고, 유기물도 90% 뽕밭이 부족하였고, 칼리는 22%가 표준량에 훨씬 못 미쳤다. 인산은 표준함양 미달 포장이 15%인 반면, 200ppm 이상이 50% 이었으며, 최고 2,117ppm인 뽕밭도 발견되었다. 3. 이러한 토양분석 결과는 3요소 시비 표준량 및 뽕밭 전용 복합비료 중의 인산 함양비율을 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oil chemical properties of 60 mulberry fields from 29 farms in Kyu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1. Average soil pH was 5.52: organic matter, 1.74%; available phosphorus, 572ppm; and exchangeable potassium, 0.62me/100g. Values for available P and pH were greater than data collected in 1983, especially for available P which was four times the value obtained in 1982. 2. Ninety two percent of mulberry fields required lime (less than pH 6.5), 90% had low organic matter content (less than 3.0%), 22% were low in K, and 15% were low in P (less than 0.5me/100g and 200ppm, respectively). However, 50% of the fields had greater than 200ppm P.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P found was 2117ppm.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phosphate applied annually may be readjusted in standard fertilizer and in three-nutrient fertilizers for mulberry fiel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