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나무 접목묘에 관한 연구 V. 방치일수가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ulberry Graftages V. Survival and Regrowth of Lifted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after Exposure to Air.

  • 발행 : 1990.03.01

초록

뽕나무 묘목을 지상부에 방치하고 방치일수에 따른 수분율, 활착률, 식재후의 생육을 알기 위하여, 1988년 11월 23일과 1989년 3월 27일 2회에 걸쳐서 개량뽕의 묘목을 각각 0, 1, 3, 6, 10 그리고 15일 동안 포장용 거적을 두겹 덮어 방치하고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추기에는 10일 동안 방치하여도 수분함량의 감소는 10% 미만이었으나, 춘기에는 1일 방치에도 9.8%를 보였다. 2. 거적내 온도는 추기에 최고 13$^{\circ}C$ 최저 -6.5$^{\circ}C$, 춘기에 최고 24$^{\circ}C$, 최저 -2.8$^{\circ}C$ 습도는 추기에 최고 100%, 최저 37%, 춘기에는 최고 100%, 최저 20%여서 추기가 온도는 낮고, 습도는 높아서 묘목의 수분감소를 적게 하였다. 3. 춘기에 방치 후 6일이 경과하면 뿌리털이 마르고 뿌리표피에 주름이 세로로 생기며, 황적색으로 변했다. 4. 활착률이 100%이고 식재후의 생육이 정상적인 방치일수는 추기에 6일, 춘기에는 3일이었다.

The resistance against drying of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lifted in the fall and spring was examined by measuring water loss, survival, and regrowth. The graftages were exposed on the ground an4 covered with 2 sheets of straw mat for 0, 1, 3, 6, 10, and 15 days. 1. Temperatures in the mat ranged from 13 to -6.5$^{\circ}C$ in fall and 24 to -2.8$^{\circ}C$ in spring. Relative humidity was 37 to 100% in fall and 20 to 100% in spring. 2. Water loss from the graftages was less than 10% after 10 days exposure in fall, whereas there was 9.8% loss with 1 day exposure in spring. 3. Six days exposure in the spring caused the root hairs to dry and the root surface to become wrinkled longitudinally and turn yellowish-red. 4. Maximum exposure which allowed 100% survival and regrowth after planting was 6 days in fall and 3 days in spring under 2 sheets of straw ma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