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1.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the Bamboo and Plastic Pots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 KIM Dae-An (National Fisheries College of Yeosu) ;
  • KO Kwan-Soh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대안 (여수수산대학 어업학과) ;
  • 고관서 (부산수산대학 어업학과)
  • Published : 1987.07.01

Abstract

The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Brevoort), to the bamboo and plastic pots with baits was investigated alternately in two experimental water tanks. One of the pots being dropped on the tank bottom, the eels touched it to obtain the bait probably by their sense of smell, and increased rapidly in the number of touch to show a maximum within 30 minutes. But the touch was made mainly to the pot wall at which the bait was located and quite accidentally to the pot mouth. The eels touched the pot mouth retreated frequently without attempting to enter the pot and their entering was very hampered by the bamboo funnel constituting the pot mouth. However, a entering, if made, encouraged other touches and the touches ascribed other enterings. But, if 30 minutes elapsed, the number of touch decreased gradually and so the enterings were little made. The ability of pots attracting the eels into them was varied with their inclination to the tank bottom and the bait position in them. That is, the pot which was laid horizontally showed high ability of attracting in case in which the bait was fixed in the vicinity of its mouth. The pot, inclined by $30^{\circ}$ by lifting its tail and had a bait left free, showed almost equal ability to the horizontal pot with a bait in the vicinity of mouth. But the pot, inclined by $30^{\circ}$ by lifting its mouth and had a bait left free, showed a very low attracting. A comparison between the bamboo and plastic pots gave only that the entering of the eels became later several minutes in the latter.

현재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의 붕장어 유입성능과 구성재료에 따른 차이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조실험을 통해 이들 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붕장어의 색이행동은 주로 후각에 의존하며, 시각감도는 매우 나쁜 것 같았다. 2)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다. 3) 붕장어의 입롱은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나고, 입롱이 일어나면 통발에의 접촉수가 증가하며,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4) 통발에 접근한 붕장어의 대부분은 미끼가 있는 부분으로 향하여 그곳의 통발외벽을 계속적으로 쪼았고, 입구를 접촉하는 것은 매우 우연적이었다. 5) 붕장어가 통발의 입구를 접촉했을 때는 강한 주촉성을 보이지 않고, 입구를 접촉한 총 회수 중에서 $40\%$ 정도는 입롱을 시도하지 않은 채 도피하였다. 6) 붕장어가 입롱을 시도한 총 회수 중에서 $20\%$는 완전 입롱하였고 나머지 $80\%$는 입롱시도후 도피하였는데, 이러한 불리한 입롱은 주로 입구깔때기의 길이가 긴 것에 기인하는 것 같았다. 7) 통발을 수조바닥에 수평으로 놓은 경우는 미끼의 위치가 통발의 입구쪽에서 꽁무니쪽으로 갈수록 붕장어 유입성능이 나빴다. 8) 통발속에 미끼를 방치하고 통발의 꽁무니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통발을 수평으로 하여 미끼를 입구쪽에 고정한 경우와 붕장어 유입성능에 대차가 없었으나, 통발의 입구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유입성능이 매우 나빴다. 9)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을 비교하면, 붕장어의 입롱이 플라스틱통발에서 수분 정도 늦어질 뿐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