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Poor Harvest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6

1986년 하동 김 양식장의 작황감소 원인에 관한 연구

  • SONG Choon Bok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HONG Jae-Sang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ANG Jae Wo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송춘복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 ;
  • 홍재상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 ;
  • 강제원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Published : 1987.07.01

Abstract

In order to clarify major reasons of a poor harvest, the Porphyra-cultivation ground was investigated in Kwangyang Bay in terms of the laver production per unit area, diseases, and fouling organisms from January to April in 1986. The laver production per unit area of the control station was more than that of the study area at 'Soppal' cultivation ground, while the difference at the cultivation groud using 'nets' seemed to be insignificant. The vertical attachment range of laver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at 'Soppal' cultivation ground. The number of young thalli of 1-3 mm length was almost similar between control and study sites at 'nets' cultivation ground. Two kinds of diseases in cultured laver, the crape and shot hole, were prevalent during the study period. However, the affected thalli were gradually decreased at the end of the study period. Major fouling organisms attached to 'Soppal' were Balanus albicostatus, Enteromorpha prolifera, Capsosiphon fulvescens, and Scytosiphon lomentaria. In conclusion, the poor harvest of laver in 1986 may result from such following problems as the decrease in vertical attachment range of laver and fouling problems as the decrease in vertical attachment range of laver and fouling organisms at 'Soppal' cultivation ground, prevalence of certain diseases,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arrangement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for laver cultivation.

본 조사는 1986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남 하동군 김양식장에서 작황조사, 병해조사, 부착생물조사 등을 통해 작황저조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지역의 경우 김의 단위당 생산량은 섶발이 평균 31.53g/피, 그물발이 평균 6.020g/10cm이었으au 대조구의 경우는 섶발이 평균 46.31 g/피, 그물발이 평균 6.225g/m로, 섶발의 경우 대조구가 높았으나 그물발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김 부착층은 김의 단위당 생산령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즉 섶발의 경우 50cm 이하인 수식부탁 범위를 가지는 조사정점 전부가 생산량이 20g/피 이하인 정점과 일치하고 있으며 이들 조사 정점의 대부분이 등이 높은 섶 양식장의 서편 증 광양제철소 맞은 편에 위치하고 있다. 유아개체수는 지점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조사정점의 전체 평균치는 961 개체로 대조구의 966개체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병해조사 결과 병해의 대부분은 구멍갯병과 쪼그랑 병이었으며 양식말기에 가서는 병세가 다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섶발 양식장의 주된 부착생물은 고랑따개비(Balanus albicostatus),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였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홍조류의 일종인 Caloglossa leprieurii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1986년도산 하동 김의 작황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수직부착범위의 감소, 병해, 해황의 변화, 부착생물, 김발의 정리와 관리문제를 들 수 있었다.

Keywords